설마설마 했는데…스마트폰에 빠진 청소년 충격 결과 나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국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소폭 줄었지만 청소년과 유아동 비율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열 명 중 네 명가량이 과의존 위험군이었다.
지난해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 가운데 고위험군과 잠재적 위험군을 포함한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22.9%로 집계됐다.
하지만 청소년과 유아동은 과의존 위험군이 늘어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명 중 4명 '과의존 위험군'
만3~9세 유아동도 증가세
지난해 국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소폭 줄었지만 청소년과 유아동 비율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열 명 중 네 명가량이 과의존 위험군이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디지털 정보격차·웹 접근성·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 가운데 고위험군과 잠재적 위험군을 포함한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22.9%로 집계됐다. 스마트폰 과의존은 일상에서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이용하고, 스스로 이용을 조절할 수 없고, 신체·심리·사회적 문제를 겪는 상태를 뜻한다. 연령대별 기준 점수대에 따라 일반 사용자군, 잠재적 위험군, 고위험군으로 분류한다.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2022년 23.6%, 2023년 23.1%로 점진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청소년과 유아동은 과의존 위험군이 늘어났다. 만 10~19세 청소년은 전년 대비 2.5%포인트 늘어난 42.6%로 집계됐다. 만 3~9세 유아동 역시 25.9%로 0.9%포인트 증가했다.
과의존 위험군은 영화·TV·동영상, 메신저, 관심사 검색, 음악 순으로 이용률이 높았지만, 일반 사용자군은 메신저, 영화·TV·동영상, 뉴스 보기, 관심사 검색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평균 77.5%로 전년보다 0.6%포인트 향상됐다. 장애인, 고령층, 저소득층, 농어민 등 모든 계층에서 정보화 수준이 높아졌다. 장애인·고령자 등의 웹사이트 접근성 수준은 66.7점으로 0.9점 올랐다. 2019년 이후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슨 일 나겠다 했는데"…할인 쿠폰 뿌리던 발란, 결국 터졌다
- 한국에선 가격 올려도 다 팔린다더니…샤넬백 '초비상'
- "가성비 최고에요"…3040들에 '인기 폭발'한 의외의 식당
- 설마설마 했는데…스마트폰에 빠진 청소년 충격 결과 나왔다
- "내일 14도인데 무슨 옷 입을까" 물었더니…예상 밖 답변 '깜짝'
- "너무 비싸고 먹을 아이도 없어요"…서울우유, 결국 '중대 결단'
- 다이소 점주의 분노…"1000원짜리 판다고 직원 무시하나"
- "남는 것 없이 싸게 팔아요"…'눈물의 세일' 홈플러스 매출 보니
- 양세형, 홍대 109억 건물도 '공실'?…직접 가보니 [집코노미-핫!부동산]
- "제2의 월급이 따박따박"…은퇴한 부모님 비결 알고 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