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 허윤홍 연봉 '10.8억'… 성과급 없이 26% 삭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공능력 상위 주요 상장 건설업체들의 최고경영자(CEO) 가운데 지난해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사람은 오세철 삼성물산 대표이사 사장으로 나타났다.
27일 금육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시공능력 10위권 6대 상장 건설업체(삼성물산·현대건설·대우건설·DL이앤씨·GS건설·HDC현대산업개발) CEO와 직원들의 평균 보수가 가장 많은 곳은 삼성물산으로 오 대표는 지난해 총 22억3600만원을 수령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7일 금육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시공능력 10위권 6대 상장 건설업체(삼성물산·현대건설·대우건설·DL이앤씨·GS건설·HDC현대산업개발) CEO와 직원들의 평균 보수가 가장 많은 곳은 삼성물산으로 오 대표는 지난해 총 22억3600만원을 수령했다. 전년(19억7600만원) 대비 13% 증가했다. 삼성물산 직원의 평균 연봉은 1억3400만으로 업계 최고 수준이나 전년(1억3600만원) 대비 -1% 삭감됐다.
2위는 현대건설로 윤 전 대표는 급여와 상여금 등을 포함해 20억1100만원을 받았다. 전년(16억원6100만원) 대비 21% 인상됐다. 퇴직금 25억5800만원을 포함하면 가장 많은 보수를 받았다. 현대건설 직원의 평균 연봉은 1억900만원으로 전년(1억500만원) 대비 3.8% 올랐다.
CEO 연봉 3위는 총수 경영자인 허윤홍 GS건설 대표이사 사장으로 지난해 10억8400만원을 받았다. 전년(14억7400만원) 대비 -26% 삭감됐다. 허 대표는 상여금 없이 기본 급여만 받았다.
━
CEO 연봉 5위는 마창민 전 DL이앤씨 대표로 지난해 4억500만원을 수령했다. 이는 전년(7억7300만원) 대비 -47% 줄어든 금액이다. 퇴직금을 포함시 8억9600만원이다. 마 전 대표는 지난해 3월 재선임됐다가 인적 쇄신 등을 이유로 8일 만에 사임했다.
현재는 박상신 대표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DL이앤씨의 직원 평균 연봉은 2023년 9000만원에서 3% 인상돼 9300만원으로 올랐다.
최익훈 전 HDC현대산업개발 대표는 지난해 3억6100만원을 수령했다. 퇴직금을 포함시 5억1900만원을 받았다. 2023년 보수는 5억원 미만으로 공시되지 않았다. HDC현대산업개발의 직원 평균 연봉은 지난해 8700만원으로 전년(8000만원) 대비 8.7% 인상됐다.
장동규 기자 jk31@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성 자취방 앞에서 음란행위, 핥기까지"… 변태남 '충격' 정체 - 머니S
- "XX 좀 보겠다"… 김수현, 19세 김새론에 보낸 '충격' 영상 - 머니S
- 한뼘 드레스 입고 '보일락 말락'… 걸그룹 출신, 과감한 노출 '헉' - 머니S
- 미역국에 '콩·김치'뿐… 6시간 산불 진화한 소방관의 '짠한 저녁' - 머니S
- '장사의 신' 백종원의 침몰?… 이번엔 '덮죽 허위 광고 의혹' 고발 - 머니S
- 박원서 유니슨 대표 "연 매출 2조원, 주가 10배 달성 자신" - 머니S
- 태영 이어 '건설 부실 리스트' 예고… 시공능력 상위업체 포함 - 머니S
- 새해 첫 주식시장 10시 개장… 종료 시간은 3시30분 유지 - 머니S
- '신도 성폭행' 만민중앙교회 이재록, 형집행정지 중 사망 - 머니S
- '나 몰래 전입신고' 전세사기 근절… "전입자 신분증 원본도 제시"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