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t 견인해도 끄떡없다"…'픽업트럭' 처음 만든 기아의 뚝심

최수진 2025. 3. 27. 16: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픽업 플팻폼 적용 및 도하 성능 확보
견고한 적재함 설계…정통 픽업 구현
다양한 오프로드 사양…특화 기능 탑재
안정적 주행위한 서스펜션·타이어 적용
동급 최대 수준의 2열 공간…편의사양
"연구원들이 끊임없이 노력한 결과물"
더 기아 타스만 테크 데이 현장 모습 사진=기아

기아가 브랜드 첫 픽업트럭 타스만에 정통 픽업트럭을 구현하기 위해 적용된 다양한 기술력을 소개했다. 새로운 픽업 플랫폼, 도하 성능, 견고한 적재함 등이 핵심이다.

기아는 27일 서울 서초구 세빛섬 플로팅아일랜드에서 '더 기아 타스만 테크 데이'를 열고 타스만에 적용된 다양한 기술을 공개했다.

기아는 이번 행사에서 △새로운 픽업 플랫폼 △도하 성능 △견고함과 활용성을 갖춘 적재 능력 등 정통 픽업의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적용된 차체 설계에 관해 설명했다. 이 밖에 오프로드 성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토잉 특화 기능 및 동급 최대 수준의 2열 공간 등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기아 관계자는 “타스만은 뛰어난 상품성을 갖춘 브랜드 최초의 정통 픽업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원들이 끊임없이 노력한 결과물”이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차량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원들의 노력을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더 기아 타스만 테크 데이 현장 모습 사진=기아

정통 픽업 특성 구현하는 차체 설계

이날 기아 발표에 따르면 타스만은 뛰어난 적재 능력, 강력한 오프로드 성능, 높은 내구성 등 정통 픽업의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새로운 픽업 플랫폼이 적용됐다.

타스만의 플랫폼은 두 개의 굵은 프레임이 크로스멤버로 연결된 형태의 보디 온 프레임 구조가 적용돼 최대 700㎏의 적재 중량과 3500㎏의 견인 성능에 걸맞은 내구성을 확보했다.

보디 온 프레임 구조는 사다리 모양의 강철 프레임에 파워트레인과 차체를 얹는 방식으로 일반 승용차 대비 무거운 하중을 더욱 잘 버틸 수 있어 뛰어난 적재 능력과 높은 내구성, 뛰어난 험로 주행 성능을 구현하는 기반이 된다.

타스만은 험로 주행에 최적화된 설계가 적용돼 X-Pro 모델 기준 252㎜의 높은 최저지상고를 확보했으며, 변속기와 배기계 부품, 연료탱크 등 주요 부품을 프레임 위에 배치해 험로 주행 시 손상되지 않도록 했다.

기아는 타스만의 프레임과 연결되는 차체 마운팅 부분에 다중골격 구조를 적용해 노면에서부터 실내 공간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분산했으며, 험로 주행 시 차체 비틀림에 대응하기 위해 고장력 강판을 확대 적용함으로써 고강성 경량 차체를 구현했다.

더 기아 타스만 테크 데이 현장 모습 사진=기아


또 기아 최초로 에어인테이크 흡입구를 측면 펜더 내부 상단 950㎜ 높이에 위치시키고 흡입구의 방향 또한 차량 진행 방향과 반대로 배치해 도하 시 흡기구를 통해 엔진으로 물이 유입되는 상황을 방지함으로써 800㎜ 깊이의 물을 시속 7㎞의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적재함의 크기와 강성을 최적화하고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적용해 적재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했다. 최대 700㎏을 실을 수 있으며, 휠 하우스 간 너비는 1186㎜로 국가별 표준 팔레트 수납이 가능하다. 이 밖에 화물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더 거치 홈, 적재 공간 손상을 방지해주는 베드 라이너, 베드 측면 조명, 고정 고리, 화물 고정 레일 및 클릿, 220V 인버터 등도 적용됐다.

오프로드 사양과 토잉 특화 기능 탑재

타스만은 사륜구동(4WD) 시스템을 바탕으로 다양한 오프로드 사양을 적용해 역대 기아 차량 중 가장 뛰어난 오프로드 성능을 발휘한다.

기아는 타스만에 엔진의 구동력을 전·후륜 구동축에 전달하는 부품인 '2속 ATC'를 적용해 다양한 주행 상황에 최적화된 구동 모드를 제공한다. 운전자는 주행 상황에 따라 △2H △4H △4L △4A 등 4개의 구동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2H 모드에서는 후륜에만 구동력을 전달해 연비 주행이 가능하며, 4H 모드에서는 전륜과 후륜에 구동력을 균등하게 배분해 험로 주행이 가능하다. 저단 기어를 체결하는 4L 모드에서는 구동력을 극대화해 더욱 험난한 지형에서도 주행이 가능하고, 4A 모드에서는 차량이 주행 상태를 판단해 자동으로 최적의 구동력을 배분한다.

X-Pro 모델에는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후륜 차동기어를 잠글 수 있는 ‘전자식 차동기어 잠금장치(e-LD)’ △산악 지형에 특화된 터레인 모드 ‘락(Rock)’ △안정적인 오프로드 주행을 돕는 ‘X-트렉(TREK)’ 모드 등을 적용해 오프로드 주행 성능을 더욱 높였다. 토잉 특화 기능도 탑재돼 최대 3.5t까지 견인할 수 있다.

또 타스만에 트레일러의 중량을 고려해 적절한 제동력을 설정할 수 있는 ‘트레일러 브레이크 컨트롤러’를 기아 최초로 적용하고, 견인 중 트레일러가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트레일러 안정성 보조 기능’을 탑재해 더욱 안전하게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도록 했다.

더 기아 타스만 테크 데이 현장 모습 사진=기아

 온·오프로드 넘나드는 최적의 주행 경험 제공

기아는 안정적 차량 거동을 확보하기 위해 2개의 분리형 마운트 부싱과 4개의 일체형 마운트 부싱을 적용해 타스만의 샤시 프레임과 차체를 연결했다. 이를 통해 타스만은 우수한 주행 성능을 구현할 수 있었다.

분리형 마운트 부싱은 충돌 성능을 고려해 차량 전방에 적용됐으며, 전후 및 좌우 강성을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일체형 마운트 부싱은 승차감과 NVH 성능 향상을 위해 실내 공간과 가까운 중앙과 후방에 적용됐다.

기아는 타스만의 전륜 서스펜션에 내구성 및 방청 성능을 강화한 하이마운트 더블위시본 타입의 서스펜션을 적용해 안정적인 주행 성능과 높은 지상고를 확보했다.

타스만의 후륜 서스펜션에는 리지드 액슬 리프 스프링 타입의 서스펜션이 적용돼 화물 미적재 시에는 기존 SUV 수준의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화물 적재 시에는 하중을 잘 버틸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기아는 타스만의 전륜 및 후륜 쇽업소버에 다양한 노면에서의 운행에 적합하게 튜닝된 주파수 감응형 밸브와 차체의 움직임을 줄여주는 우레탄 스토퍼를 적용해 승차감을 더욱 향상했다.

이 밖에도 기아는 타스만 기본 모델에 온로드 주행에 적합한 타이어를 장착하고, X-Pro 모델에는 외경이 28㎜ 커지고 오프로드 주행에 적합한 트레드 패턴이 적용된 AT 타이어를 장착해 각 모델에 특화된 주행 경험을 제공한다.

타스만은 NVH 성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전방 유리 및 1열에 이중 접합 차음유리를 적용하고 차량 곳곳에 흡·차음재를 사용했다. 외부에서 실내로 이어지는 환기 통로를 최적 설계해 로드 노이즈 유입을 최소화하고 씰 스트립을 적용해 승객실과 적재 공간 사이에서 발생하는 윈드 노이즈를 줄였다.

기아는 타스만에 다양한 편의사양을 적용하고 동급 최대 수준의 2열 공간을 확보했으며, 하만카돈 오디오 시스템, 폴딩 콘솔 테이블 등 편의사양이 대거 탑재됐다. 승객실의 크기는 2214㎜로, 1·2열 시트백의 두께를 줄여 넉넉한 2열 공간을 제공했다. 이 밖에 2열 시트에 동급 최초로 슬라이딩 연동 리클라이닝 기능을 적용해 편의성을 높였다. 2열 도어는 최대 80도까지 열 수 있는 '와이드 오픈 힌지'를 적용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