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윌, 3년 만에 흑자 반전 비결…고강도 비용 감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반 성인 교육업체 에듀윌이 3년 만에 흑자로 반전했다.
무엇보다 최근 2년간 임직원을 3분의 2 넘게 줄이고, 광고비를 6분의 1로 축소하는 등 대대적인 비용 감축 효과에서 비롯됐다.
2022~2023년 186억~120억원 대규로 적자 뒤 3년 만의 흑자 전환이다.
에듀윌은 2019년 주4일제로 전환하면서 2022년 말 임직원수가 874명에 달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판관비 450억…2년 전의 1/3 수준
일반 성인 교육업체 에듀윌이 3년 만에 흑자로 반전했다. 무엇보다 최근 2년간 임직원을 3분의 2 넘게 줄이고, 광고비를 6분의 1로 축소하는 등 대대적인 비용 감축 효과에서 비롯됐다.
27일 에듀윌의 2024년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작년에 매출 82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26.8%(302억원) 줄었다. 2021년(1557억원) 이후 3년 연속 감소 추세다. 주력사업인 공인중개사·공무원 시험 시장 위축의 여파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반면 영업이익으로 49억원을 벌어들였다. 2022~2023년 186억~120억원 대규로 적자 뒤 3년 만의 흑자 전환이다. 금액으로는 2018년(74억원) 이래 최대치다. 순이익 또한 203억~175억원 적자 흐름을 끊고 21억원 흑자로 돌아섰다.
역성장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이 호전됐다는 것은 그만큼 비용 절감이 주효했다는 의미다. 에듀윌은 사상 첫 적자를 기록한 2022년부터 대규모 인력 감축, 광고비 축소에 돌입한 바 있다.
에듀윌은 2019년 주4일제로 전환하면서 2022년 말 임직원수가 874명에 달했다. 2023년 말 337명에 이어 작년 말에는 260명으로 감소했다. 335억→228억→116억원 급여 축소로 이어졌다.
마케팅비용에도 손을 댔다. 온라인·옥외·지하철 등의 광고 마케팅에 적잖은 자금을 쏟아 붓는 교육업체로 잘 알려져 있지만 작년에는 광고선전비와 판매촉진비가 71억원에 머물렀다. 정점을 찍었던 2021년(480억원)의 15% 수준이다.
강도 높은 비용 관리를 통해 지난해 판관비는 2023년에 비해 45.5%(376억원) 대폭 줄어든 450억원에 머물렀다. 2년 전(1220억원)과 비교해 보면 거의 3분의 1 수준이다.
빚도 줄었다. 에듀윌은 순차입금(총차입금-현금성자산)이 2021년 381억원에서 이후 2년 동안은 연속 680억원대를 유지했다. 작년에는 425억원으로 전년 대비 37.5%(255억원) 감소했다.
에듀윌은 오너인 양형남(63) 대표가 두 아들 양기송씨와 양기창씨와 함께 지분 80.7%를 소유 중이다. 2016년 4월 이후 7년여 만인 2023년 10월 대표로 복귀해 직접 경영을 챙기고 있다.
신성우 (swshin@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이번엔 필립스"…LGD, 4세대 패널 출시 3달만 '글로벌 주문' 러시
- HLB 간암 신약, FDA 승인 불발…"2차 보완요청서 수령"
- 한화에어로, 오션에 1.3조 쓰고 주주에 손 벌렸다
- [공모주달력]에이유브랜즈·한국피아이엠, 25일부터 동시 청약
- 억대 연봉 바이오기업 4곳…알테오젠 2.2억 '최고'
- [인사이드 스토리]"재건축 늦어진 게 우리 때문?"…래미안의 경고
- 불황에도 R&D 늘린 제약바이오…셀트리온, 4347억 '최대'
- [단독]그래닛셰어즈 '엔비디아·테슬라 3배 ETF', 런던에서 '신규발행 중단' 위기
- [청기홍기]한화에어로, 투자방향 맞지만 왜 굳이 증자로?…목표가↓
- 한투증권, 사라진 5년치 매출 5.7조…외환거래 손익 과대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