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우 대전시장 재산 28억 6600만원 신고...3.4억원 ↑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전시 재산 공개 대상자의 평균 신고 재산 총액은 8억 3316만 원으로 1년 새 재산이 증가한 공직자는 66명, 재산이 감소한 공직자는 32명으로 나타났다.
대전시는 27일 2025년도 정기 재산 공개 대상자 총 98명의 재산 변동 내역을 전자관보 및 시 공보를 통해 공개했다.
대전시공직자윤리위원회 관계자는 "시민으로부터 신뢰받는 공직사회 구현을 위해 재산 등록 및 심사 제도를 지속적으로 엄정하게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개 대상 98명 중 66명 재산 증가...1억원 이상 증가 19명
대전시 재산 공개 대상자의 평균 신고 재산 총액은 8억 3316만 원으로 1년 새 재산이 증가한 공직자는 66명, 재산이 감소한 공직자는 32명으로 나타났다.
대전시는 27일 2025년도 정기 재산 공개 대상자 총 98명의 재산 변동 내역을 전자관보 및 시 공보를 통해 공개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전년보다 3억 4500만원이 증가한 28억 6600만원,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은 1621만원이 늘어난 8억 355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구청장은 서철모 서구청장 24억 5952만원, 최충규 대덕구청장 21억 1201만원, 박희조 동구청장 6억 3729만원, 정용래 유성구청장 4억 4100만원, 김제선 중구청장 3억 707만원 순으로 재산이 많았다.
재산총액 기준으로 재산 공개 대상자의 70.4%에 해당하는 69명이 10억 원 미만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산 증가 폭으로는 1억 원 이상 증가한 공직자가 19명(19.4%), 5000만 원 이상 1억 원 미만 증가는 9명(9.2%), 5000만 원 미만 증가는 38명(38.8%)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재산 증가의 주요 요인은 주식 매각 및 주식 상승에 따른 예금 증가 등이며, 감소의 주요 원인은 부동산 가액 하락과 채무 증가 등으로 분석됐다.
신고된 재산 내역은 공직자윤리법 제8조에 따라 공개 후 3개월 이내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심사를 받게 된다. 재산 심사 결과 불성실 신고 사실이 확인될 경우 경중에 따라 경고 및 시정 조치, 과태료부과, 해임·징계 의결 요청 등의 조치를 받게 된다.
대전시공직자윤리위원회 관계자는 “시민으로부터 신뢰받는 공직사회 구현을 위해 재산 등록 및 심사 제도를 지속적으로 엄정하게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충청취재본부 박종명 기자 cmys0410@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민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이준석 "폰지사기와 다를 바 없어" - 아시아경제
- 건강했던 20대 돌연 사망…원인은 자주 마셨던 '이 음료' 때문이었다 - 아시아경제
- 팔팔 끓여도 안 죽네…봄철, 배달음식 잘못 먹으면 큰일 난다 - 아시아경제
- "매일 새벽에 나와" "짬 버리고 있더라"…산불 현장서 닷새째 출근하는 원희룡 - 아시아경제
- 자연산 새우 썼다던 백종원 덮죽…논란 일자 뒤늦게 수정 - 아시아경제
-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인터뷰] - 아시아경제
- "성시경 극찬한 평냉맛집이 들어온대"…에루샤 뺨치는 백화점 '명품식' 경쟁[럭셔리월드] - 아시
- "상여금 말고 선물로 드리면 안되나요?"…통상임금 소송 위험에 기업들 '혼란' - 아시아경제
- "꿈에 나올까 겁나요"…초·중·고 '개구리 해부' 금지한다 - 아시아경제
- '한때 3000억 기업가치' 흑자는 단 한해도 없었다…'정산 지연' 발란, 결제도 막혔다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