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 “북한, 러시아에 3000여명 추가 파병…미사일 등도 지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합동참모본부가 27일 북한이 올해 초 러시아에 3000명 규모의 추가 병력을 파병했고 미사일과 각종 포탄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이날 북한군 동향을 공개하면서 러시아로 파병된 북한군 1만1000여 명 중 약 4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올해 1∼2월 약 3000명 이상이 증원 개념으로 추가 파병된 것으로 파악한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합동참모본부가 27일 북한이 올해 초 러시아에 3000명 규모의 추가 병력을 파병했고 미사일과 각종 포탄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이날 북한군 동향을 공개하면서 러시아로 파병된 북한군 1만1000여 명 중 약 4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올해 1∼2월 약 3000명 이상이 증원 개념으로 추가 파병된 것으로 파악한다며 이같이 전했다.
앞서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추가 파병을 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규모는 파악 중이라고 지난달 밝힌 바 있다.
국가정보원은 당시 군 관계자는 추가 파병 규모가 1000명 이상이라고 추정한 바 있는데, 이번에 합참이 3000명 이상이라고 공식 발표한 것이다.
합참은 병력 외에 미사일, 포병 장비, 탄약 지원도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상당량의 단거리탄도미사일(SRBM)과 170㎜ 자주포 및 240㎜ 방사포 220여 문을 북한이 지원했으며 전황에 따라 늘어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지난해 말 동계 훈련을 위해 일시 중단했던 전선 지역 작업은 이달 초부터 재개해 철책 보강 등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합참은 밝혔다.
합참은 “며칠 전 지뢰 폭발로 다수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교대 투입 병력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작업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북한은 지난해 전선 작업 중 20여회 지뢰 폭발을 일으켰고 올해 들어서는 이번이 처음이다.
한편 DMZ 내에 있는 북한 지역 경의선 송전탑 11개의 철거는 마무리됐다. 다만 군사분계선(MDL) 이북 첫 번째 송전탑은 철거하지 않았고, 군이 예상했던 대로 감시용 CCTV 1대가 달렸다.
합참은 “우리 측 경계 작전에 직접 위협은 되지 않으나 작전 활동이 북한군에 노출될 수 있어 이를 유념해 경계 작전 및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 건물의 자재 반출 활동도 지난해 12월부터 지속되고 있다고 합참은 전했다.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의성 산불 진화하던 강원도 소속 헬기 추락…조종사 1명 사망
- 중대본 “경북북부 산불 사망자 18명으로 늘어”
- 산청·하동 산불, 지리산국립공원 안으로 확산
- 연기로 뒤덮인 ‘세계유산’ 안동 하회마을…주민 대부분 대피
- 한동훈 “86세대 꿀 빨고 청년세대 독박”…국힘 내부 ‘연금개혁’ 여진
- 춘천서 尹 탄핵 반대 집회…전한길 "계엄은 대통령 권한"
- 춘천출신 경계현 고문 ‘80억원’ 삼성전자 연봉왕
- 강원대, 춘천교대·강원도립대와 2027년까지 통합 추진
- “북한, 비트코인 보유량 전세계 3위” 어떻게 모았나
- 이번엔 20번대 줄번호 로또 1등 36명, 당첨금 각 8억2000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