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투자 美종목 비중 90%… 한은“손실 우려, 분산투자할 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투자자들이 미국 대형 기술주를 뜻하는 '매그니피센트7(M7)'과 레버리지·인버스 상장지수펀드(ETF)로 쏠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주식 투자의 90% 이상이 미국 주요 종목에 쏠린 것이다.
26일 한은이 블로그에 기재한 '서학개미, 이제는 분산투자가 필요할 때'에 따르면 개인들의 해외 주식 투자에서 미국 비중은 2019년 말 58.2%에서 2023년 말 88.5%, 이달 18일에는 90.4%까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형 기술주-레버리지ETF에 집중
美, 내달 2일 상호관세 부과 예정
“美증시 변동 대비 위험 분산을”
26일 한은이 블로그에 기재한 ‘서학개미, 이제는 분산투자가 필요할 때’에 따르면 개인들의 해외 주식 투자에서 미국 비중은 2019년 말 58.2%에서 2023년 말 88.5%, 이달 18일에는 90.4%까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들이 미국 증시에서 주가 상승 시 수익률이 2배가량 높은 레버리지 상품을 대거 매수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형 기술주와 나스닥 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프로셰어스 울트라프로 QQQ(TQQQ)’는 개인들이 여섯 번째로 많이 보유한 종목이다. 특히 테슬라 주가 움직임을 2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TSLL)는 국내 개인 보유 비중이 전체 시가총액의 40.5%에 달할 정도다. 이 같은 상품은 추종 지수가 상승할 때는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지만, 예상과 반대로 하락할 경우 손실 폭도 그만큼 불어난다.
한은은 미국 주식 시장이 흔들릴 경우 개인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재민 한은 국제국 해외투자분석팀 과장은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 인상에 돌입한 2022년에 개인들은 M7 보유 비중을 계속해서 늘렸는데, 종목별 연중 수익률이 지수 하락 폭보다 컸던 편”이라며 “특히 2020년 하반기(7∼12월)부터 보유 잔액 1위인 테슬라의 수익률은 ―65%로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미국 증시의 변동성이 커진 만큼, 개인들이 투자 대상을 늘리는 방식으로 ‘위험 분산’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달 2일부터 주요 무역국에 대한 상호관세에 나설 예정인 점도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달 10일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는 미국 관세정책 위험, 미국 정부의 줄어든 예산 집행 등을 이유로 올 상반기(1∼6월) 중 S&P500지수가 5,500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 과장은 “손실을 최소화하고 투자 이익을 안정적으로 쌓아가려면 (지금 같은) 일부 종목에 대한 과도한 편중을 줄여야 한다”며 “국내외 다른 종목에 분산 투자함으로써 위험을 줄여 나가는 노력이 필요한 때”라고 주장했다.
강우석 기자 wskang@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과장했다고 허위는 아니다” 대법판례 끌고 온 이재명 2심
- 결국 지리산도 뚫렸다…천왕봉 바로 아랫마을 대피령
- [사설]李 선거법 위반 2심 ‘전부 무죄’… 다 뒤집힌 1심 판단
- [사설]사상 최악 사망자 낸 ‘괴물 산불’… 가용자원 총동원해 잡아야
- 尹 탄핵선고 이번주 어려워…4월 2일 재보선 이후 유력
- 요양원 차 두 대로 필사의 탈출…뒷차가 불길 못 피했다
- [사설]이복현 “삼부토건 조사에 금감원 명운”… 이제껏 뭉개다가
- 고대 “미복귀 의대생 28일 제적 처리”…300∼350명 달해
- ‘반얀트리 화재’ 수사받던 소방관 숨진채 발견…심경 메모 남겨
- “건기식 유행 따라 먹으면 위험…복용약과 충돌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