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격 벼르던 與 “최악 시나리오” 당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의힘은 26일 법원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하자 반발하며 "앞으로 대법원의 신속하고 현명한 판단을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대전에서 열린 현장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허위사실 공표로 수많은 정치인이 정치생명을 잃었는데 이 대표는 같은 사안인데도 무죄를 선고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1심과 2심의 판단 차이가 너무 커서 하루빨리 대법원에서 결정을 내려줘야 법적 논란이 종식될 것이다. 대법원에 가면 파기 환송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李무죄에 “유감, 대법서 바로잡히길”
‘李 불가론’ 공세 전략 수정 불가피
|
“대단히 유감” 밝힌 與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26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항소심 무죄 선고와 관련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권 비대위원장은 “대단히 유감스럽다. 대법원에서 신속하게 재판해 정의가 바로잡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단히 유감스럽다. 대법원에서 신속하게 6·3·3 원칙에 따라 재판해서 정의가 바로잡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6·3·3 원칙은 공직선거법의 재판에 대한 규정으로 1심 재판은 6개월 이내, 2·3심 재판은 각각 3개월 이내에 끝내도록 하고 있다. 권 비대위원장은 1심과 같은 유죄 판결이 나오면 기자회견을 열 계획이었으나 무죄 판결이 나오자 기자회견을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대전에서 열린 현장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허위사실 공표로 수많은 정치인이 정치생명을 잃었는데 이 대표는 같은 사안인데도 무죄를 선고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1심과 2심의 판단 차이가 너무 커서 하루빨리 대법원에서 결정을 내려줘야 법적 논란이 종식될 것이다. 대법원에 가면 파기 환송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여권의 차기 대선주자들도 일제히 검찰의 상고와 대법원의 신속한 결정을 촉구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대선 주자가 선거에서 중대한 거짓말을 했는데 죄가 아니라면 그 사회는 바로 설 수 없다”고 적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무죄를 정해놓고 논리를 만든 것”이라며 “정치인의 진퇴는 판사가 아닌 국민이 선거로 결정해야 한다는 말을 새삼 떠오르게 하는 판결”이라고 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이 판결은 정치인에게 주는 ‘거짓말 면허증’”이라며 “대법원이 잘못된 판결을 신속히 바로잡아야 한다”고 했다.
여권 내에선 이 대표의 무죄에 대해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위기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에 따라선 조기대선이 열릴 가능성이 있지만 범여권 대선주자들이 아직 낮은 지지율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유력한 민주당 대선 후보로 꼽히는 이 대표가 사법리스크를 덜어냈기 때문이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이 대표가 ‘전과 4범’이라는 사실과 ‘8개 사건, 12개 혐의, 5개 재판’이라는 꼬리표는 여전히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 대표의 항소심 무죄 판결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았다.
권구용 기자 9drago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과장했다고 허위는 아니다” 대법판례 끌고 온 이재명 2심
- 결국 지리산도 뚫렸다…천왕봉 바로 아랫마을 대피령
- [사설]李 선거법 위반 2심 ‘전부 무죄’… 다 뒤집힌 1심 판단
- [사설]사상 최악 사망자 낸 ‘괴물 산불’… 가용자원 총동원해 잡아야
- 尹 탄핵선고 이번주 어려워…4월 2일 재보선 이후 유력
- 요양원 차 두 대로 필사의 탈출…뒷차가 불길 못 피했다
- [사설]이복현 “삼부토건 조사에 금감원 명운”… 이제껏 뭉개다가
- 고대 “미복귀 의대생 28일 제적 처리”…300∼350명 달해
- ‘반얀트리 화재’ 수사받던 소방관 숨진채 발견…심경 메모 남겨
- “건기식 유행 따라 먹으면 위험…복용약과 충돌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