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곳곳 불길 '넘실'…"차량 대피 시 조심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앵커> 산불 피해자 중에는 대피하려고 이동하다 도로 위 차 안에서 숨진 경우도 있었습니다.
빠르게 확산한 산불이 도로까지 덮치면서 곳곳이 통제되고 열차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의성과 안동, 영덕 지역을 중심으로 산불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고속도로 통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산불 피해자 중에는 대피하려고 이동하다 도로 위 차 안에서 숨진 경우도 있었습니다. 빠르게 확산한 산불이 도로까지 덮치면서 곳곳이 통제되고 열차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정성진 기자입니다.
<기자>
희뿌연 연기로 덮인 하늘이 점점 어두워지더니 시뻘건 기운이 차오릅니다.
[이대로 가는 게 맞아?]
도로 바로 앞까지 불길이 번진 상황.
검은 연기로 뒤덮이면서 칠흑 속에 갇혀버립니다.
[나가자 우리도. 고속도로 무서운데 나.]
그제(25일) 오후 늦게 의성 산불이 안동까지 순식간에 번지며 대피령이 내려지기 직전 중앙고속도로 안동 분기점 근처 상황입니다.
[통제를 해야 되는 거 아니야 이거를? 통제를 해버려야지.]
도로공사는 해당 구간 운행을 통제했습니다.
의성과 안동, 영덕 지역을 중심으로 산불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고속도로 통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중앙고속도로 의성IC부터 예천IC 구간, 서산영덕고속도로 동상주IC부터 영덕 톨게이트 구간의 양 방향 운행이 통제되고 있습니다.
해당 지역의 고속도로 CCTV 일부는 케이블 등이 불에 타 도로 상황 확인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산불 상황에 따라 통행이 차단되는 구간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교통 속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도로공사 측은 당부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산불 상황이나 인근 지형 등을 정확히 모를 경우 차량 이용이 더 위험할 수도 있다고 지적합니다.
오히려 이동이 제한되고 상황 대처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영주/경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빨리 저 산불 지역을 지나가면 되겠지라고 오히려 생각을, 잘못 판단을 하셔서 그런 지역을 지나다가 화를 당하시는 경우도 상당히 많이 있거든요.]
운행이 중단됐던 중앙선과 동해선 일부 열차 구간은 어제 정오에 운행이 정상화됐습니다.
(영상편집 : 정용화)
정성진 기자 captain@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30년 된 헬기 타고 지원 왔다가"…70대 조종사 숨져
- 천년고찰 '고운사' 전소…축사는 그대로 무덤으로 '참혹'
- "골프 사진 조작됐다 볼 수 있어"…뒤집힌 쟁점
- "불 꺼도 땅 안에서 탄다"…지리산 국립공원 경계선 '긴장'
- 산불 사망자 26명으로 늘어…최악의 인명피해 남겼다
- [단독] "5시간 넘게 재난문자 없었다"…군청 '우왕좌왕'
- "용암 흐르는 듯 보여"…제보로 본 산불 피해 상황
- 도로에 검은 연기 '훅' 순식간에 칠흑…"차량 대피시 조심"
- '매캐한 연기' 자욱…"멈추면 죽을 수도" 긴박했던 상황
- 지붕 구겨지고 타이어도 녹아…마을 순식간에 '폐허'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