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 밥줄 끊어" 민원 폭발…산불에 난리 난 재소자 가족들, 왜?

전형주 기자 2025. 3. 26. 19: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안동교도소와 경북북부교도소(옛 청송교도소)를 덮치자, 재소자 가족 등이 모인 '옥바라지' 카페에서는 불안감과 분노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지난 25일 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영상에 '옥바라지' 카페에서 우려의 반응이 쏟아졌다.

현재까지 산불로 인한 교정시설의 인적·물적 피해는 없지만, 밤사이 산불이 거세져 경북북부 제2교도소 주벽 바로 앞까지 번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안동교도소와 경북북부교도소(옛 청송교도소)를 덮치자, 재소자 가족 등이 모인 '옥바라지' 카페에서는 불안감과 분노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사진=디시인사이드 캡처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안동교도소와 경북북부교도소(옛 청송교도소)를 덮치자, 재소자 가족 등이 모인 '옥바라지' 카페에서는 불안감과 분노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지난 25일 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영상에 '옥바라지' 카페에서 우려의 반응이 쏟아졌다.

해당 영상에는 교정직 공무원으로 추정되는 이가 인근 화재진압에 방화복도 입지 않고 작은 소화기를 들고 투입되는 모습이 담겼다.

영상은 다른 온라인 커뮤니티로 확산했고 교정직 공무원 처우에 대한 응원의 메시지가 이어졌다.

반면 '옥바라지' 카페 반응은 달랐다. 한 회원은 "저 큰불을 저 작은 소화기로 끈다는 거냐. 자기들(공무원들)은 도망이라도 간다지만 안쪽이(수감된 연인을 이르는 수용자 가족 카페의 은어)들은 어쩌라는 거냐. 이젠 화가 난다"고 지적했다.

다른 회원들도 "119 전화해 보니 교도관한테 얘기해서 경북 119로 신고하라더라", "도망도 못 가는 우리 안쪽이 식구들은 지금 숨구멍을 놓게 생겼는데 119 직원들 제정신인지 묻고 싶다", "밥줄 잘라버리고 싶다. 소방공무원 의식이 맞는지 묻고 싶다" 등 반응을 보였다.

일부 회원은 교도소와 소방서에 민원을 넣었다고도 했다.

현재까지 산불로 인한 교정시설의 인적·물적 피해는 없지만, 밤사이 산불이 거세져 경북북부 제2교도소 주벽 바로 앞까지 번졌다. 특히 불길이 보안 구역을 둘러싼 4.5m 담장 일부에 달라붙는 일촉즉발 사태까지 발생했다.

법무부는 경북북부 제2교도소 재소자 약 500명을 대구지방교정청 산하 교정기관으로 이송했다. 이들은 보호장비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송버스를 이용해 이동했으며, 탈주 등 돌발상황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경북북부 제2교도소는 국내 유일의 중경비 교정시설로, 주로 흉악범 등이 속하는 중경비수용 등급 처우의 수형자들이 수감돼있다. 이들은 이송된 기관에서도 독거실에 분리 수용돼 있고, 해당 기관 직원들과 이송에 참여한 경북북부 제2교도소 직원들이 함께 관리하고 있다.

전형주 기자 jhj@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