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 리스크' 부담 털어낸 이재명…대권 행보에 '청신호'

박경준 2025. 3. 26. 16: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차기 대권을 향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행보에 '청신호'가 들어왔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이 대표의 지지도가 박스권에 갇혀 있던 큰 이유 중 하나가 사법 리스크였는데 그게 해소된 것 아니겠나"라며 "앞으로는 지지율이 더 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날 공직선거법 항소심 무죄 판결로 정치적 부담을 덜게 된 이 대표는 향후 행보를 '차기 지도자 면모'를 부각하는 쪽에 더 주력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기대선 땐 '대세론' 더욱 힘 받을듯…당내 리더십도 공고해져
위증교사 항소심 등 8개 사건 5개 재판…리스크 완전 해소는 안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항소심 선고공판 출석하는 이재명 대표 (서울=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항소심 선고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2025.3.26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경준 기자 = 차기 대권을 향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행보에 '청신호'가 들어왔다.

공직선거법상 허위 사실 공표 혐의와 관련해 항소심 재판부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원심을 깨고 26일 이 대표에게 무죄를 선고하면서다.

1심의 형이 유지됐다면 의원직과 10년간 피선거권이 박탈이라는 무거운 족쇄를 차고 대법원까지 가야 했지만, 2심에서 이를 뒤집으면서 이 대표의 어깨를 짓누르던 '사법 리스크'를 상당 부분 털어냈다는 평가도 나온다.

민주당에선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이재명 대세론'이 더욱 힘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이후 조기 대선을 가정한 각종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주자들과 큰 격차를 둔 채 대권주자 선호도에서 선두를 달려왔다.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 탄핵을 인용해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이 대표의 지지도는 더 상승세를 탈 것으로 민주당은 기대한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이 대표의 지지도가 박스권에 갇혀 있던 큰 이유 중 하나가 사법 리스크였는데 그게 해소된 것 아니겠나"라며 "앞으로는 지지율이 더 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대표의 당내 리더십도 더욱 공고해지게 됐다.

지난 1심 판결 때 이 대표는 사법 리스크를 털어내지 못했고, 당내에선 이 대표의 향후 행보에 힘이 빠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항소심에서 1심 판결과 비슷한 형량이 유지되면 숨죽이던 비명(비이재명)계가 '선수 교체론'을 내세워 이 대표를 공격하고 리더십에도 흠집이 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왔다.

그대로 형이 확정되면 당이 대선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보전받은 비용 434억원까지 반환해야 한다는 점도 이 대표의 리더십에 악재로 작용할 요인이었다.

그러나 이번 판결로 이 같은 리스크를 모두 털어내면서 이 대표의 당 장악력은 더욱 강해지게 됐다.

비명계의 한 의원은 통화에서 "조기 대선이 확정되면 당이 이 대표를 중심으로 일사불란하게 움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2심 선고 공판 출석 (서울=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2심 선고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2025.3.26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이날 공직선거법 항소심 무죄 판결로 정치적 부담을 덜게 된 이 대표는 향후 행보를 '차기 지도자 면모'를 부각하는 쪽에 더 주력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민주당이 여권과 정치적 공방을 벌이는 것과 별개로 이 대표는 민생·경제 중심의 행보를 보이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이 대표도 항소심 판결 후 기자들과 만나 "이재명을 잡기 위해 증거와 사건을 조작하는 데 쓴 역량을 산불 예방이나 국민의 삶을 개선하는 데 썼더라면 얼마나 좋은 세상이 됐겠나"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 죽어가고 경제는 망가지고 있지 않나"라며 "더 이상 이런 데 국력을 낭비하지 않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100% 해소된 것은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이날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무죄 판결에 대해 검찰이 상고할 가능성이 크고, 대법원에서 파기 환송되면 사법 리스크가 원점으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이 대표가 선거법 위반 사건을 포함해 현재 총 8개 사건으로 기소돼 5개 재판을 받고 있다는 점도 변수다.

지난해 11월 1심에서 무죄 선고를 받은 위증교사 사건은 현재 서울고법의 2심 재판이 진행 중이다.

서울중앙지법은 이 대표의 대장동·백현동·위례신도시 개발 비리와 성남FC 불법 후원금 의혹 등 4건의 사건을 심리 중이다.

수원지법에서는 쌍방울 대북 송금 사건과 법인카드 유용 의혹 사건 재판이 진행되고 있다.

물론 정치권에서는 이 대표가 조기 대선을 통해 차기 정권을 잡을 경우 해당 재판들이 속도를 내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kjpark@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