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정 사상 초유의 국회 해산 주장 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회에서 '국회의원 총사퇴'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이 최고위원은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필요하다면 여야 국회의원들이 모두 총사퇴하고 총선을 다시 치르자"고 발언한 바 있다.
국회의원 총사퇴 주장은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도 제기된 바 있다.
다른 당 관계자는 "행정부가 마비된 상황에서 국회의원까지 총사퇴하자는 것은 무책임한 발언"이라고 평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용민 “총선·대선 같이 할 수도”
국힘 일부 의원 즉각 “지지” 호응
헌재·여론 압박 수단 활용 양상
민주 지도부선 “개인의 상상력”
국회에서 ‘국회의원 총사퇴’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여야 강경파가 헌재를 압박하기 위해 현실 가능성이 없는 무책임한 발언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즉각 “지지한다”고 호응했다.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은 페이스북에 “이 의원의 총사퇴, 재선거 발언 지지한다”고 적었다. 지난 총선에서 낙선한 일부 원외 당협위원장들도 줄줄이 유사한 내용의 글을 올렸다. 신동욱 수석대변인도 라디오에서 “그동안 거대 의석을 가지고 온갖 횡포를 다 부리던 민주당이 지금 이런 얘기를 하는 것이 국민에 대한 예의는 아니지만 그 정도라도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면 그 점에선 존중한다”고 말했다.
당초 총사퇴론은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이 먼저 꺼냈다. 윤 의원은 지난 11일 당 의원총회에서 국회의원 총사퇴 결의와 국회 해산을 주장했다. 108석 대 192석이라는 극단적 여소야대 상황에서 30차례 ‘줄탄핵’을 통해 국정을 마비시킨 야당을 심판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민주당 내부에서부터 무리한 발언이었다는 비판이 나온다. 한 의원은 “실현 가능하지 않은 말을 섣불리 뱉었다”고 했다. 다른 당 관계자는 “행정부가 마비된 상황에서 국회의원까지 총사퇴하자는 것은 무책임한 발언”이라고 평가했다. 당 지도부도 “의원 개인의 정치적 상상력”이라며 “당이 공식적으로 총사퇴를 논의해서 나온 발언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조희연·유지혜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냥 못 보겠다”…백종원, ‘90도 사과’ 뒤 곧장 달려간 이곳
- “보기 싫어!” 이재명 얼굴 친 이재민…지지자들, 기부 ‘취소’ 행렬
- 아빠 유전자 5% + 엄마 미모 몰빵…개그맨 오지헌 딸들 ‘믿기지 않는 외모’
- 전남편 15억 빚 갚는 중…61세 박해미 세 번째 결혼? 상대 누군가 했더니
- 방송서 속옷까지 벗었다... “정자 1억 개” ‘54세’ 男개그맨 정체
- “요즘 女공무원 너무 많아…산불 투입 어렵지” 울산시장 발언 논란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