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유럽서 50% 성장 목표, 미국서 짐펜트라로 7000억 매출 자신"

안대규 2025. 3. 25. 15:2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정진 회장 2년 더 경영 맡기로 정기 주총서 결정
짐펜트라 실적 부진 주주 항의에 "분위기 달라졌다"
부친 대신 주총 진행한 서진석 "성과로 보여줄 것"
25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셀트리온 정기 주총에서 발언하는 서진석 대표. 셀트리온 제공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2년 더 경영을 맡게 됐다. 셀트리온은 올해 유럽 매출을 전년 대비 50%이상 올리고 미국에서도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짐펜트라만으로 매출 7000억원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26일 오전 10시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서 회장을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임기는 2년으로 오는 2027년 3월까지다. 서 회장은 이날 성대결절 수술 등의 사유로 주총에 참석하지 못했고 장남인 서진석 셀트리온 대표가 주총을 진행했다.

이날 주총에선 세계 유일 피하주사(SC) 제형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성분명 인플릭시맙)인 짐펜트라가 미국에서 부진한 매출을 보인 것에 대한 주주들의 항의가 이어졌다. 서정진 회장은 지난해 미국 시장에 처음 출시된 짐펜트라의 매출 목표를 5000억원에서 7000억원으로 잡고 이를 공개했다. 하지만 실제 매출은 5%수준인 366억원에 불과했다. 주주들은 "이제는 무슨 말을 해도 못믿겠다", "경영진이 책임지고 사퇴하라" 등 강도 높은 발언들을 이어갔다. 

서진석 대표는 주주들의 성화가 이어지자 "기대에 못미쳐 죄송하다", "다음부터는 목표치 공개에 신중하겠다"며 허리를 90도로 굽히며 사죄했다. 서 대표는 "미국 시장이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 보험사, 병원 등의 영업 준비 절차가 복잡해 짐펜트라 출시에 시간이 예상보다 많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이에 주주들은 올해 짐펜트라 출하 상황을 문의했고 서 대표는 "짐펜트라 가치와 경쟁력은 여전하다"며 "올해 들어 짐펜트라 출하량은 50% 이상 증가하고 있다"고 했다. 또 “셀트리온은 원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약속했던 매출 숫자(7000억원)를 달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지난해 영업이익(4920억원)이 시장 기대보다 낮고 전년 대비 24%하락한 것에 대해선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5종의 출시를 한꺼번에 준비하면서 예상외로 비용이 많이 들어갔다"며 "미국 직접판매 마케팅비용과 오리지널 제약사들의 소송비용도 늘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올해부터는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날 것"이라며 "꼭 결과로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주총을 진행하고 있는 서진석 셀트리온 대표. 셀트리온 제공

셀트리온은 매출의 50%를 차지하는 유럽 시장에서 매출이 전년 대비 50%이상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날 김형기 셀트리온 부회장은 "유럽에서 지난해 매출 1조5000억원을 달성했는데, 올해 50%이상 성장이 목표"라고 말했다. 의약품 시장 조사기관인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램시마 제품군의 유럽시장 점유율은 70%다. 혈액암 치료제인 트룩시마는 31%, 유방암 치료제인 허쥬마와 대장암 치료제인 베그젤마 역시 각각 29%로 현지 처방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김 부회장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유플라이마의 경우 지난 2월 중순부터 출하물량이 급증하고 있다"며 "미국 의약품 유통의 핵심인 PBM들이 처방집 리스트에서 오리지널 제약사를 빼는 움직임도 우호적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스테키마의 경우 미국내 3대 PBM과 등재 계약도 앞둔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주요 제품이 미국 100대 대학병원 네트워크에서 모두 출시가 가능한 상황이 됐고 1분기 처방 환자수도 전분기 대비 40~50%급증했다"고 말했다.

셀트리온은 2030년까지 22개의 제품을 갖춘다는 전략이다. 현재 판매중인 제품은 6개 제품이다. 기우성 셀트리온 부회장은 "올해 초 5개 제품에 대한 승인을 받아 올해 제품 포트폴리오가 11개로 늘어날 것"이라며 "2027년까지 16개, 2030년까지 22개로 확대할 것이고 이 제품의 시장 규모만 260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셀트리온의 올해 매출 목표는 5조원으로 50%는 유럽, 30%는 북미, 나머지 20%는 일본과 브라질 등 기타시장에서 거둔다는 목표다. 서진석 대표는 "장기 성장 동력 확보 차원에서 기업 인수합병(M&A)은 지양하되 기술 도입은 꾸준히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신약 개발에 대해선 "현재 10개의 라인업이 올라가고 있고 4개는 임상 1상에 들어간다"며 "우리 신약후보물질의 데이터가 좋아 관심갖는 글로벌 대형 제약사도 많다"고 했다. 그는 자신의 임기와 관련해 "지금 신약을 위해 저에게 잠깐 키를 줬다고 생각한다"며 성과에 따라 연연하지 않겠다는 각오도 내비쳤다.

서 대표는 지난해 주총에 이어 이날 주총 사회를 맡았다. 대표이사 취임 1년 밖에 안됐지만 항의하는 주주들의 애로사항을 잘 경청하면서도 충분한 발언기회를 주며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 매끄럽게 진행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인천 송도=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