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가 1억원 中 지커, 왜 韓 시장 노리나 [한양경제]

하재인기자 2025. 3. 24. 10: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전기차는 오랫동안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삼아왔다.

지커는 테슬라를 겨냥해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을 공략해왔고, 최근 한국 시장 진출을 공식화했다.

전문가들은 지커를 중국 전기차 산업 고급화의 대표 사례로 본다.

이항구 전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지커는 중국 고급 브랜드의 교두보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테슬라 겨냥한 7X, 1회 충전 543㎞ 주행
한국 진출은 아시아 프리미엄 시장 공략 일환
지커, 가성비 앞세운 中 전기차와 차별화

이 기사는 종합경제매체 한양경제 기사입니다

중국 전기차는 오랫동안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삼아왔다. 하지만 최근엔 성능과 디자인, 기술까지 내세운 고급화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 그 중심에 있는 브랜드가 지커(Zeekr)다. 지커는 테슬라를 겨냥해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을 공략해왔고, 최근 한국 시장 진출을 공식화했다.

지커는 지난 2월 말 '지커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코리아'라는 이름의 한국 법인을 설립했다. 모기업은 중국 최대 민영차 지리자동차로, 볼보와 로터스, 폴스타를 보유하고 있다. 지커는 2021년 이 그룹에서 분사된 고급 전기차 전용 브랜드로, 설계부터 플랫폼까지 프리미엄을 지향한다.

지커 SUV 모델 7X. 지커


판매가 1억 원 7X, 1회 충전 543㎞ 주행

대표 모델인 '지커 001'은 최고 출력 536마력, 제로백 3.8초의 성능을 자랑한다. SUV 모델 '7X'는 639마력에 543㎞ 주행 가능 거리(1회 충전 기준)를 갖췄다. 유럽 기준 판매가는 약 1억 원. 전기차 시장의 보급형 이미지에서 벗어나 고성능을 전면에 내세운 전략이다.

지커가 사용하는 SEA 플랫폼은 볼보, 폴스타와도 공유되는 전기차 전용 아키텍처다. OTA(무선 업데이트), 첨단 운전자 보조 기능, 자율주행 등 최신 기술과도 궁합이 맞는다.

지커는 중국 내에서도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2022년 판매량은 7만 대, 2023년엔 22만 대로 급증했다. 테슬라 차량을 타던 소비자들이 지커로 이동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2023년 11월 스톡홀롬에 첫 오픈한 지커의 쇼룸. 지커


한국 진출은 아시아 프리미엄 시장 공략 일환

글로벌 확장도 빠르게 진행 중이다. 2023년 뉴욕증시에 상장해 4억4000만 달러를 조달했고, 유럽(네덜란드·독일 등)과 중동 시장에 진출했다. 이번 한국 법인 설립은 아시아 프리미엄 시장 공략의 일환이다.

한국에서 첫 출시 모델은 7X가 유력하다. 해당 모델은 국내 상표 등록을 마쳤다. 테슬라 모델 X 롱레인지는 670마력, 560㎞ 주행, 가격은 약 1억4000만 원. 현대차의 아이오닉 5 N은 650마력, 350㎞ 주행, 약 8000만 원대다. 지커 7X는 639마력, 543㎞ 주행, 약 1억 원대로 중간에 위치한다.

지커코리아에는 동아시아 총괄 차오위가 대표로, 김남호 전 폴스타코리아 임원이 사내이사로 등록돼 있다. 시장 분석과 딜러 네트워크 구축 등 초기 작업이 진행 중이다.

지난해 노르웨이에 출시된 지커 모델. 지커


지커, 가성비 앞세운 中 전기차와 차별화

최근 중국 전기차 브랜드의 한국 진출이 잇따르고 있다. BYD는 아토3를 앞세워 판매 중이고, 창안자동차와 샤오펑도 진입을 준비 중이다. 다만 이들은 대부분 '가성비'를 앞세운 반면, 지커는 고성능 전략으로 차별화를 꾀한다.

전문가들은 지커를 중국 전기차 산업 고급화의 대표 사례로 본다. 이항구 전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지커는 중국 고급 브랜드의 교두보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최재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도 "장기적으로 국내 시장에서 일정 점유율을 확보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과제도 있다. 중국 브랜드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낮은 신뢰도와 브랜드 충성도는 극복해야 할 과제다. 특히 고가 차량일수록 브랜드 이력, A/S 체계, 기술력 등에 대한 소비자 기준이 엄격하다.

지커는 단순한 중국 전기차 브랜드가 아니다. 지리그룹의 기술력과 자본을 바탕으로 탄생한 전략 브랜드다. 한국 시장은 지커에게 단순한 해외 진출이 아니라, 아시아 고급차 시장 공략의 시험대가 될 수 있다. 이제 중국산 전기차는 더 이상 '싸고 빠른 차'만은 아니다. 지커는 그 통념을 뒤집으려 한다. 그 실험의 무대가 바로 한국이다.

하재인기자 hajaeinn@hanyangeconomy.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