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학원비 내니 '텅'"…중산층 여윳돈 5년 만에 최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소득 상위 40∼60%에 해당하는 중산층 가구의 여윳돈이 3개 분기 연속 감소하며 5년 만에 70만 원 아래로 떨어졌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소득 3분위(상위 40∼60%) 가구의 여윳돈인 '실질 흑자액'은 65만 8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만 8000원 줄었다.
작년 4분기 3분위 가구의 비소비지출은 77만 7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8% 증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자·교육비·세금 부담에 3분기 연속 감소세
(세종=뉴스1) 김유승 기자 = 소득 상위 40∼60%에 해당하는 중산층 가구의 여윳돈이 3개 분기 연속 감소하며 5년 만에 70만 원 아래로 떨어졌다.
가구 소득은 증가했지만 이자 부담과 교육비, 부동산 관련 세금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소득 3분위(상위 40∼60%) 가구의 여윳돈인 '실질 흑자액'은 65만 8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만 8000원 줄었다.
이는 2019년 4분기(65만 3000원) 이후 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여윳돈이 70만 원을 하회한 것 역시 5년 만에 처음이다.
흑자액은 소득에서 세금·이자 등 비소비지출과 소비지출을 뺀 금액이다.
중산층 가구의 여윳돈은 2020년 90만 원을 넘었지만 코로나19 이후 감소세를 이어왔다. 2022년 3분기 이후 2023년 2분기와 2024년 1분기를 제외한 8개 분기에서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2분기부터는 3개 분기 연속 감소했다.
전체 가구의 평균 흑자액은 최근 2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회복세인 것과 상반된 흐름이다.
3분위 가구의 흑자액이 줄어든 것은 보건·교통·교육비 등 소비지출과 함께 이자·취득세 등 비소비지출이 늘어난 영향이 컸다.
작년 4분기 3분위 가구의 비소비지출은 77만 7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8% 증가했다. 이는 2019년 가계 소득·지출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규모이자, 최대 증가 폭이다.
이 중 이자 비용은 10만 8000원으로 4개 분기 만에 다시 10만 원을 넘었으며 전년 동기 대비 1.2% 늘어난 수치다.
아울러 부동산 구입에 따른 취·등록세 증가에 비경상조세는 5만 5000원으로, 1년 전보다 491.8% 급증했다.
교육비 지출은 14만 5000원으로 13.2% 증가했는데, 이는 전체 가구 평균 교육비 증가율(0.4%)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ky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MZ신부 중 공주님 많다…다정하지 않은 남자, 결혼 못한다" 웨딩플래너 주장
- 이재명이 지지율 1위 아니다? 明보다 지지율 높은 A 씨…與野 모두 긴장
- "초등 여동창, 남친 '그곳' 관리하는 왁싱 담당이었다…불편한데 어떡하죠"
- 尹, 다시 운명의 시간 시작된다…아내 김건희와 심판대
- 6년 전 '재산 4억' 신고한 문형배…"평균인 삶에서 벗어나지 않게" 재조명
- 전한길 "정치글 다 내린다"…尹 파면 뒤 '한국사 카페' 찾아 태세 전환
- 김병옥 "20년 전 로또급 청약 당첨…3억 손해 보고 정리" 왜?
- "차 안에서 밥 먹고 볼일까지"…4세 딸, 유치원 두 곳 보내는 '도치맘'
- "유언장 빽빽하겠구먼"…헬스유튜버 故 김웅서, 사실혼 여성과 녹취록 파장
- '식당 전단지 돌리는' 김상혁 "母 남친에23억 원 사기 당해" [RE: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