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파인만’이 쏘아올린, 파운드리 1nm 전쟁 [AI&칩 워]
[AI&칩 워] - 7회: 파인만과 1nm 공정
엔비디아 2025년 연례 컨퍼런스인 GTC 2025에서 새로운 인공지능(AI) 반도체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그 주인공은 ‘블랙웰 울트라 B300’와 ‘루빈’ 아키텍처인데요. 블랙웰 울트라는 기존 블랙웰(B200) 대비 50% 높은 FP4(4비트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을 자랑하며, 최대 288GB의 HBM3e 고대역폭메모리를 탑재했습니다. 올해 말 출시 예정입니다. 그 이후 모델은 루빈입니다. 루빈 아키텍처는 블랙웰 대비 FP4 연산 성능이 2~3배 이상 향상되며, HBM4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뒤를 이을 루빈 울트라는 100 PFLOPs 이상의 성능과 1TB 이상의 HBM4 메모리를 탑재할 예정입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블랙웰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면, H100은 아무도 사지 않을 것”이라며 “루빈 아키텍처는 기존 AI 연산 비용을 99.97% 절감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괴물 칩으로 보일 법한 ‘블랙웰 울트라 B300’과 ‘루빈’은 반도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오늘 AI&칩 워 코너에서는 엔비디아 칩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산업에 미칠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루빈은 대규모 연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매우 클 것으로 보입니다. 엔비디아가 늘 달성했듯이, 루빈은 블랙웰 보다 연산 성능을 2배 더 높일 것으로 보입니다. HBM 용량은 4배 가까이 커집니다. 이러한 성능을 구현하려면 종전 4nm 공정으로는 면적, 전력, 발열 등 물리적 한계에 부딪힙니다. TSMC는 2025년 하반기부터 2nm(N2) 공정 양산을 한다고 밝힌 바 있는데, 루빈 예상 출시 시점이 2026년 말~2027년 초입니다. 즉, TSMC는 2nm 공정을 루빈에 적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엔비디아는 루빈 이후의 모델인 파인만을 발표했는데요. 로드맵만 공개했지, 예상 스펙은 철저히 숨겼습니다.
연산 성능 향상의 다른 말은 반도체 집적도 향상입니다. 4nm 공정에서는 약 1억 개/mm² 수준의 트랜지스터 집적도를 가지는데요. 1nm 공정에서는 약 3억 개/mm² 이상으로 밀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nm 공정 대비 1nm 공정에서는 30~50% 이상 연산 속도 향상이 기대된다. 반면 트랜지스터가 밀집되면 전력 소비가 줄어듭니다. 1nm 공정에서는 4nm 대비 50% 이상 전력 효율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첨단 AI 가속칩은 엄청난 가격을 보일 전망입니다. TSMC 기준으로 4nm 웨이퍼 가격은 1만6000~2만달러로 추정이 되는데, 1nm 웨이퍼는 5만달러 이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4 nm 공정은 현재 엔비디아, AMD, 퀄컴 등에서 주력으로 사용하는 최신 공정인데, 향후 몇 년 뒤 나올 1nm 공정은 2027~2028년경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차세대 AI 가속기, 서버용 CPU, 모바일 AP 등에 사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일각에서는 실리콘 기반 웨이퍼 대신 새로운 재료를 도입해 전력 효율과 성능을 극대화할 가능성도 전망되고 있습니다. 기존 실리콘 반도체는 공정이 미세화될수록 전류 누설 증가, 발열 문제, 트랜지스터 밀도 증가 한계 등의 문제를 겪고 있는데요. 실리콘보다 높은 밴드갭(Bandgap, 3.26eV)을 가져 전력 손실이 적고,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실리콘 카바이드(SiC)나 더 높은 전자 이동도(Electron Mobility)와 내구성을 자랑하는 갈륨 나이트라이드(GaN)나 아니면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와 그래핀(Graphene) 역시 언급되고 있습니다.
어쨌든 TSMC는 N2 공정 기반 칩을 애플, 엔비디아 등의 고객사에 공급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6년에는 백사이드 파워 딜리버리(backside power delivery) 기술을 적용한 N2P 공정을 도입할 예정으로 알려졌습니다. 현재 반도체 공정에서는 칩의 상단(Frontside)에서 전력과 신호를 모두 전달하는 방식을 쓰고 있는데, 향후에는 칩의 후면(Backside)에 전력 공급 배선을 배치하고, 전면(Frontside)에는 신호 배선을 배치하는 백사이드 방식이 대세로 부상할 전망입니다.
인텔 역시 종합 반도체 전략인 ‘IDM 2.0’을 선포했는데요. 현재 2027년 14A(1.4nm), 2029년 10A(1nm) 공정을 도입한다는 로드맵을 제시한 상태입니다. 18A는 인텔 처음으로 GAAFET 기술(리본펫·RibbonFET)과 백사이드 파워 딜리버리를 적용한 공정인데, 향후 14A와 10A에서도 이를 개선해 적용할 방침입니다. 더군다나 인텔은 미국 정부의 반도체 육성 정책(CHIPS Act) 지원을 바탕으로 파운드리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TSMC를 추격하고 있는데요. 현재는 고객사 유치를 위한 공격적인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한 번 나가면 수십만원 깨진다”...주말골퍼 얇아진 지갑에 ‘여기’ 북적 - 매일경제
- “김수현, 큰 게 걸렸다…N번방과 비교가 안돼” 가세연 주장, 추가 폭로 예고 - 매일경제
- “쉬고싶은데, 아내가 계속 일하라는 말 들을걸”...은퇴 후 놀면 우울증·뇌졸중 확률 커진다 -
- “신혼여행 미뤘는데”...김수현 논란에 조보아도 불똥 - 매일경제
- 노인 국민연금 수급액은 늘지않아··· 청년층 불만 잠재우려면? [국민연금 개혁 Q&A] - 매일경제
- “세상에, 세탁기 뚜껑에 다 찍혔네”...37분간 성범죄 딱 걸린 20대 - 매일경제
- “롯데는 왜 없어요”...출시 사흘만에 100만개나 팔린 ‘이 빵’의 정체 - 매일경제
- “탄핵정국에 3억 벌어들였다…떼돈 번 정치 유튜버들 보니 - 매일경제
- 새 격전지 된 HBM4…‘세계최초 12단 공급’ 하이닉스 vs ‘두번 실수 없다’ 삼성 - 매일경제
- 개막전서 쓰러진 김도영, 왼쪽 햄스트링 손상…짜릿한 재역전승에도 KIA는 웃지 못했다 - MK스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