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탄핵 '빅이벤트' 앞둔 코스피…조정시 매수기회[주간증시전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번 주 국내 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와 국내 주요 인사들의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변동성이 커질 전망이다.
미국의 주요 경제 지표 발표 영향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다시 부각할 수 있는 점도 국내 증시 상방을 제한할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번 주 국내 증시는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이다.
증권가에선 국내 증시가 주요 이벤트를 소화하면서 조정을 거친 뒤에는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요 인사 탄핵선고도 변동성 확대 요인
증권가 "증시 조정시 저평가주 관심 확대해야"
NH투자증권, 코스피 2540~2680선 전망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이번 주 국내 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와 국내 주요 인사들의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변동성이 커질 전망이다. 미국의 주요 경제 지표 발표 영향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다시 부각할 수 있는 점도 국내 증시 상방을 제한할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다만 증권가에선 주요 이벤트를 소화하며 증시가 조정 흐름을 보일 경우 저점 매수할 것을 조언했다. 불확실성이 해소되며 반등 움직임이 가시화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국내 증시가 여전히 저평가됐다고 분석하며 낙폭과대주에 관심을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지난주 증시는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에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를 필두로 코스피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D램과 낸드(NAND)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이 본격화하면서 업체들의 이익이 개선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 덕이다. 특히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가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6만5000원에서 7만원으로, SK하이닉스의 목표가를 15만원에서 23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면서 투자심리 개선에 힘을 보탰다.
미국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가 시장에 안도감을 제시한 것도 국내 증시에 호재로 작용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기준금리를 4.25~4.5%로 동결하면서 올 연말까지 두 차례 금리 인하하겠다는 기존 점도표를 유지하고 양적긴축(QT) 규모 축소를 결정했다. 특히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트럼프 관세 정책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일시적일 것이라고 평가한 점이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했다.
이번 주 국내 증시는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월2일 예정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지속 언급하고 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 역시 “4월 2일에 우리는 각 국가의 관세에 해당한다고 생각하는 숫자를 부여할 것”이라며 “어떤 국가는 그 숫자가 꽤 낮을 수 있고 어떤 국가는 꽤 높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외에도 미국 소비자신뢰지수, S&P 구매관리자지수(PMI) 등의 주요 경제 지표가 발표되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NH투자증권은 이번 주 코스피 예상 범위로 2540~2680선을 제시했다.
증권가에선 국내 증시가 주요 이벤트를 소화하면서 조정을 거친 뒤에는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이상준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관세 우려가 고점을 통과한 이후에는 미국 감세안, 한국 정치 불확실성 해소 등 주가에 긍정적인 요인들이 대기하고 있다”며 “주가 조정이 나타나면 매수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낙폭 과대 및 저평가주를 중심으로 반등 움직임이 두드러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추가적인 비중 확대를 고려하는 투자자는 단기 변동성을 활용해야 한다”며 “반도체, 2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소외주거나 실적 대비 저평가된 업종으로 단기 트레이딩 측면에서 매력적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김응태 (yes010@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7년생 정동원, 강북 타워팰리스 산다…“20억원에 한강뷰”[누구집]
- "잊힐까 두렵다"...'증발'한 신혼부부, 9년째 미스터리 [그해 오늘]
- "말이 안 돼" AI도 놀랐다…백종원 이번엔 빽다방 '당 폭탄' 구설[먹어보고서]
- '햄스트링 부상' KIA 김도영, 큰 부상 피했다...한 달 이내 복귀 가능
- '세탁기 뚜껑'은 다 알고 있었다..."성폭행 안 했다"던 남성의 최후
- 김수현, 하의실종 사진 공개에 결국 김새론 유족 고발[이주의 인물]
- 아들에 아파트 주고 주소 옮겼는데…‘꼼수 탈세’ 걸린 사연[세금GO]
- "그 많은 어른 중 단 한명도"...13살 여학생들에 성병까지 옮긴 '헬퍼'
- 美 그랜드 캐니언 여행 한국인 가족 3명 열흘째 연락두절
- "애국이야 좌파야?"…헌재 앞 식당 낙인 찍기, 사장님들 한숨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