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엽이 호락호락하지 않다고 했는데… MLB 28승 투수의 랜덤 제구, 영점만 잡히면 에이스?

김태우 기자 2025. 3. 22. 19: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KBO리그 데뷔전에서 들쭉날쭉한 제구로 고전한 두산 외국인 에이스 콜 어빈 ⓒ두산베어스
▲ 22일 인천 SSG전에서 KBO리그 데뷔전을 가진 콜 어빈은 5이닝 4실점을 기록하며 승패 없이 경기를 마쳤다 ⓒ두산베어스

[스포티비뉴스=인천, 김태우 기자] 두산 새 외국인 투수 좌완 콜 어빈(31)은 올해 한국에 온 신입 외국인 투수 중 가장 화려한 축의 경력을 자랑한다. 2019년 필라델피아에서 메이저리그에 데뷔한 콜어빈은 오클랜드·볼티모어·미네소타를 거치며 메이저리그 통산 28승을 기록했다.

당장 메이저리그 134경기에 나간 경력이 있었고, 이중 93경기가 선발 등판이었다. 선발로 키워졌고, 실제 메이저리그에서 100경기 가까이 선발로 나간 경력은 KBO리그에서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 2024년에도 29경기(선발 16경기)에서 6승6패 평균자책점 5.11을 기록한 현역 메이저리거였다. 많은 이들이 두산이 이런 경력의 콜어빈을 데려올 수 있었던 비결을 궁금해 할 정도였다.

캠프부터 합격점을 받았다. 좌완으로 시속 150㎞ 이상의 공을 던질 수 있고, 메이저리그에서도 선발 로테이션을 돌았을 정도로 다양한 구종을 던질 수 있는 능력도 있었다. 이숭용 SSG 감독도 처음 보는 콜어빈에 대해 높은 평가를 내렸다. 이 감독은 22일 인천SSG랜더스필드에서 열린 두산과 정규시즌 개막전을 앞두고 “굉장히 치기 까다로운 성향이더라. 아무래도 왼손잡이 투수인데도 3루 쪽을 밟고 던진다”면서 그간 보기 어려웠던 유형의 투수라고 긴장했다.

캠프 때부터 오랜 기간 콜어빈을 봐온 이승엽 두산 감독도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현역 메이저리거에 화려한 경력을 자랑하고, 시범경기까지 봤을 때는 1선발에 걸맞은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감독은 콜어빈에 대해 “스트라이크만 많이 던진다면 그렇게 호락호락하게 공략 당하는 투수는 아니다. 워낙 준비도 잘 했고 공에 굉장히 위력이 있다. 인천에서 어빈 선수가 처음 던지지만 그런 생소한 것만 빼면 충분히 자기가 피칭을 할 것 같다. 워낙 또 영리한 투수고 또 구종이 다양하다. 다양한 구종을 다 본인이 원하는 곳으로 꽂아낼 수 있는 로케이션이 된다”고 높은 평가를 내렸다.

그런 콜어빈의 KBO리그 10개 구단의 관심 속에 베일을 벗었다. KBO리그 데뷔전은 쉽지 않았다. 기량에서 클래스를 느낄 수는 있었으나 과제도 남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날 어빈은 5이닝 동안 92개의 공을 던지며 7개의 안타와 3개의 4사구를 내주는 등 고전한 끝에 4실점했다. 6개의 삼진을 잡아내기는 했지만 제구와 커맨드는 완벽하지 않은 날이었다.

사실 구위 자체는 나쁘지 않았다. 최고 구속이 시속 152.8㎞(트랙맨 기준)에 이르렀다. 패스트볼 평균 구속도 147㎞로 나쁜 편이 아니었다. 투심패스트볼과 스위퍼, 커브, 슬라이더, 커브 등 다양한 구종을 던졌다. 그러나 이승엽 감독이 말한 전제가 빠져 있었다. 바로 스트라이크를 잘 던지지 못했다.

아무래도 이날 환경이 낯설 수밖에 없었다. 처음으로 서 보는 마운드였고, 메이저리그와는 완전히 다른 경기장 분위기였다. 아무리 경험이 많은 투수라고 해도 긴장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 가운데 스트라이크와 볼의 차이가 너무 컸다. 콜어빈은 메이저리그에서도 9이닝당 볼넷 개수가 2.2개로 괜찮은 수치를 가진 투수였다. 이를 고려하면 이날 투구 내용은 자신의 원래 모습과는 달랐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전체 92구 중 스트라이크 비율이 60%가 채 안 됐다.

▲ 콜어빈은 구위와 다양한 구종 자체는 분명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선수인 만큼 제구만 안정되면 충분히 자기 몫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두산베어스

1회 첫 타자인 최지훈에게 볼 세 개를 연속으로 던지고 시작했다. 타깃이 잘 형성되지 않았다. 어려운 카운트에서 최지훈을 헛스윙 삼진으로 돌려세우는 저력을 보여줬지만 정준재에게 볼넷을 내줬다. 1회 실점하지는 않았지만 볼 비중이 높았다.

결국 2회에도 제구 문제 탓에 3실점의 빌미를 제공했다. 선두 이지영에게 몸에 맞는 공을 내줬고, 후속 타자 박성한에게도 몸에 맞는 공을 허용했다. 박성한의 몸쪽 깊숙한 곳으로 공이 날아간 탓에 자칫 잘못했으면 큰 부상이 나올 뻔한 장면이었다. 이어 하재훈과 고명준에게 연속 적시타를 허용했다. SSG는 콜어빈의 몸쪽 공 보다는 먼 코스의 공을 공략한다는 전략을 들고 나갔는데 두 타자 모두 이 과제를 잘 수행했다.

콜어빈은 박지환을 삼진으로 잡았지만 최지훈에게 희생플라이를 허용하고 3점째를 내줬다. 3회에도 2사 후 이지영에게 좌전 안타, 박성한에게 중전 안타를 맞고 고전했다. 다만 하재훈을 삼진으로 처리하고 위기를 넘겼다. 역시 공이 많이 날리는 와중에 풀카운트에서 크게 빠지는 공에 하재훈이 스윙을 해준 게 다행이었다.

다만 두산이 3회 1점에 이어 4회 3점을 내며 4-3으로 역전을 해준 것이 콜어빈에게는 힘이 됐다. 4-3으로 앞선 4회 선두 고명준에게 중전 안타를 맞았지만 후속타를 잘 억제하며 실점하지 않았다. 2사 2루에서는 정준재를 헛스윙 삼진으로 돌려세웠다.

이날 90~95구 정도의 투구가 예정되어 있었던 콜어빈은 5회에도 마운드에 올랐다. 하지만 에레디아와 한유섬에게 연속 볼넷을 허용한 뒤 이지영의 희생번트로 이어진 1사 2,3루에서 박성한의 유격수 땅볼 때 동점을 허용하고 승리투수 요건을 날렸다. 팀이 6회 득점을 해 다시 승리 투수 요건을 갖췄지만 8회 오태곤에게 역전 투런포를 맞고 끝내 노디시전을 기록했다. 다음 등판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곳에 공을 던지는 비율이 더 높아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스포티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