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오세훈 대납 의혹’ 관련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 참고인 조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가 연루된 여론조사 조작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명씨가 김 전 위원장과 여의도연구원에 보궐선거 관련 비공표 여론조사 결과를 수시로 보낸 증거를 확보하고 관련 진술을 확보했다.
검찰은 이날 조사에서 김 전 위원장이 명씨로부터 2021년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여론조사 결과 등을 받아본 경위와 해당 여론조사 결과를 어떻게 활용했는지 등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가 연루된 여론조사 조작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조사하고 있다.
21일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이날 오전부터 김 전 위원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검찰은 2021년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명씨가 실질적으로 운영한 것으로 알려진 여론조사업체 미래한국연구소가 오 시장과 관련한 비공표 여론조사를 13차례 실시하고, 오 시장의 후원자인 사업가 김한정씨가 여론조사비용 3300만원을 대납했다는 의혹을 살피고 있다.
검찰은 명씨가 김 전 위원장과 여의도연구원에 보궐선거 관련 비공표 여론조사 결과를 수시로 보낸 증거를 확보하고 관련 진술을 확보했다. 김 전 위원장은 시비에스(CBS) 라디오에 출연해 “전혀 기억을 못하고 있었다. 과거에 있던 여비서에게 물어봤더니, 그런 여론조사를 출력해 책상 위에 놔뒀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명씨의 여론조사 결과를 전달받았더라도 전혀 신경 쓰지 않았다는 취지이다.
하지만 한겨레 취재 결과, 검찰은 명씨가 김 전 위원장에게 직접 서울시장 보궐선거 여론조사 설문지를 사전 보고하고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공표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 이전 보고하며 서울시장 보궐선거 비공표 여론조사 결과를 사후에 보고하는 내용의 카카오톡 대화를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중앙지검 수사팀은 지난달 17일 명씨 관련 사건 중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 의혹, 오 시장의 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을 넘겨받은 뒤 주로 오 시장 관련 의혹 수사에 집중해왔다. 검찰은 닷새에 걸쳐 명씨를 상대로 오 시장 관련 의혹을 물었고, 김한정씨를 3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밖에도 강철원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 김병민 현 정무부시장, 이창근 전 대변인, 박찬구 정무특보 등 오 시장 주변 인물을 소환했다. 김씨의 자택과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전날에는 오 시장 공관과 서울시청, 강 전 부시장의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날 조사에서 김 전 위원장이 명씨로부터 2021년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여론조사 결과 등을 받아본 경위와 해당 여론조사 결과를 어떻게 활용했는지 등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김 위원장 등에 대한 조사와 오 시장 관련 압수물 분석을 마무리하는 대로 오 시장을 불러 조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배지현 기자 beep@hani.co.kr 정혜민 기자 jhm@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야 5당, 한덕수 헌재 선고 앞 “최상목 탄핵” 이유 있었네
- 국힘, 연금개혁안 후폭풍…“내용도 모르고 합의” 당 특위 총사퇴
- [단독] 명태균 “오세훈 유리한 여론조사 부탁했다”고 김한정에 문자
- [단독] 김성훈 경호차장 “윤 대통령 위해 우려 많아” 구속 기각 주장
- 대통령 경호처 직원, 만취해 경찰 폭행…현행범 체포
- 윤석열 지지자, 잇따른 경찰 폭행…60대·유튜브 현행범 체포
- ‘토허제 혼란 책임’ 오세훈 핵심측근 민생·정책특보 사의
- 신차 8대 고속도로에 와르르…카캐리어 넘어져 3시간 넘게 정체
- 민주노총, 정년 연장 추진 공식화…“퇴직후 재고용 절대 안 돼”
- 한·중 외교장관, 일본서 손 맞잡았지만…‘한한령’ 언제 풀릴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