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재명 "기업 잘돼야 나라 잘된다"…말 대신 입법으로 보여줘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어제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SSAFY)'를 방문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만났다.
이 대표는 이날 만남에서 이 회장에게 "기업이 잘돼야 나라가 잘되고, 삼성이 잘 살아야 삼성에 투자한 사람들도 잘산다"고 말했다.
"기업이 잘돼야 나라가 잘된다"는 당연한 말을, 이 대표가 하면 뉴스가 되는 이유를 알아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어제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SSAFY)’를 방문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만났다. 이 대표는 이날 만남에서 이 회장에게 “기업이 잘돼야 나라가 잘되고, 삼성이 잘 살아야 삼성에 투자한 사람들도 잘산다”고 말했다. 또 “일자리든, 삶의 질이든 다 경제활동에서 나오는 만큼 글로벌 경쟁이 격화한 상황에서 대기업의 국제 경쟁력을 키우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고 했다.
두 사람이 상법 개정안, 반도체특별법의 주 52시간 근무 예외 조항 등 현안을 논의할 것이라는 당초 전망과 달리 실제로는 이와 관련한 대화는 없었다고 한다. 야당 대표가 기업인을 만나 의견을 나누는 것 자체는 바람직한 일이다. 비록 이날 만남에서 깊은 얘기를 나누지 못했지만 정치인이라면 내우외환기에 당연히 기업의 어려움에 귀를 열고 다가서야 한다. 이 대표는 지난달 4대 그룹 싱크탱크 수장을 국회로 불러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의 통상정책 변화를 논의하는 등 ‘반(反)기업’ 이미지를 벗기 위해 노력해 왔다. 충남 아산 현대자동차 공장을 찾아 “기업 성장은 나라 경제 성장의 전부”라고 말하기도 했다.
불안한 대목은 이런 말과 주장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 대표는 반도체 업종에 주 52시간제 예외를 적용할 것처럼 하다가 노동계가 반발하자 말을 바꿨다. 기업이 줄소송에 시달리고 경영권까지 위협받을 수 있는 상법 개정안도 밀어붙였다. 경제 8단체가 모두 나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거부권 행사를 요청할 만큼 기업들이 우려하는 법안이다.
“기업이 잘돼야 나라가 잘된다”는 당연한 말을, 이 대표가 하면 뉴스가 되는 이유를 알아야 한다. 그만큼 낯설고 믿기 어렵기 때문이다. 정치적 수사에 그치지 말고 이제는 행동으로, 입법으로 보여주길 바란다. 트럼프발(發) 관세 태풍을 헤쳐 나가야 할 우리 기업들을 힘껏 지원하지 못할망정 이중삼중의 규제로 묶어 침몰시키는 어리석은 짓은 이제 멈춰야 한다.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출 막히나요?" 문의 폭주…이사 앞둔 실수요자 '패닉'
- '초저가' 레스토랑도 아닌데 '바글바글'…아웃백, 잘나가는 이유
- 머지포인트 데자뷔?…선불업 등록 안한 '문화상품권' 주의보
- 5개월만에 '6만전자' 탈환…코스피 반등 기대 커진다
- "이게 3000원이라고?" 우르르…다이소 대박 나더니
- "1억 깎을테니 주말까지 꼭 팔아줘요"…집주인들 '초비상' [현장+]
- 매달 70만원씩 모았더니…5년 뒤 통장에 찍힌 돈이 '깜짝'
- '천당 밑에 분당' 너무 좋아…주민들 만족도 조사해보니
- '진라면' 즐겨 먹었는데…농심 이어 오뚜기도 결국 백기
- '너무 세게 물렸다'…동학개미 '눈물의 반려 주식' 뭔가 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