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분양 가뭄 '쇼크'…서울은 6주째 멈췄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들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 신규 공급 감소가 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건설사와 시행사(개발업체)는 경기 침체와 탄핵 정국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 가중, 지방 미분양 증가 등으로 올해 상반기 분양 일정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있다.
직방 관계자는 "지난해 말부터 경기 침체, 탄핵 정국 등으로 분양 시장이 얼어붙었다"며 "시행사나 건설사가 예정된 분양 물량을 정상적으로 소화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내달도 분양 찾기 힘들어
부동산 경기 침체·탄핵 정국에
분양지수도 72로 비관적 전망
다음주엔 청약홈 개편 예정
6월 학교용지 부담금 인하 변수
건설·시행사들, 공급 하반기로
올해 들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 신규 공급 감소가 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건설사와 시행사(개발업체)는 경기 침체와 탄핵 정국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 가중, 지방 미분양 증가 등으로 올해 상반기 분양 일정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있다. 오는 6월 시행되는 학교용지 부담금 인하 효과를 기대해 공급 시기를 하반기로 늦추는 현장도 늘어나고 있다. 업계에서는 상반기 공급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일부 청약 대기 수요가 매매로 전환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1~3월 서울 분양 한 곳뿐
20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와 직방 등에 따르면 이번주 전국에서 아파트 1·2순위 일반분양 물량은 한 가구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일반분양 물량은 6주째 나오지 않고 있다. 지난달 초 서초구 방배동 ‘래미안 원페를라’(1097가구) 분양 이후 개점휴업 상태다.
다음달도 서울 분양 소식은 찾아보기 힘들 전망이다. 강남구 역삼동 은하수아파트 재건축 단지인 ‘자이 더 캐럿 141’(237가구)이 분양을 계획하고 있지만 정확한 일정은 불투명하다. 이 단지의 일반분양 물량은 74가구에 불과하다. 직방 관계자는 “지난해 말부터 경기 침체, 탄핵 정국 등으로 분양 시장이 얼어붙었다”며 “시행사나 건설사가 예정된 분양 물량을 정상적으로 소화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파구 잠실동 미성크로바아파트를 재건축하는 ‘잠실르엘’도 올해 상반기 분양이 점쳐졌지만, 시기가 미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분위기는 분양 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직방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분양 예정 물량(1만2676가구) 중 실제 분양이 이뤄진 것은 5385가구에 그쳤다. 10가구 중 4가구만 공급됐다는 뜻이다.
주택 사업자의 분양 시장 전망도 어두운 편이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전달보다 2.5포인트 하락한 72.9로 나타났다. 전국 주택 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기준치 100을 밑돌면 분양 시장을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사업자가 많다는 의미다. 지난해 10월 99.3까지 오른 분양전망지수는 이후 하락 추세를 보였다.
◇‘학교용지 부담금 완화’도 변수
다음주에는 분양 공고 정보가 게시되는 청약홈 일부 개편이 예정돼 있어 신규 공고 게시가 닷새간 중단된다. 청약홈을 관리하는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주택 공급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반영하기 위한 시스템 개편이 오는 24~28일 이뤄질 예정”이라며 “신규 공고 서비스 외에 이전 공고분의 청약 접수, 당첨자 선정 등 다른 서비스는 정상적으로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6월부터 학교용지 부담금 부과 요율이 낮아지는 것도 분양 시기에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학교용지 부담금은 정비사업 등을 할 때 시·도지사가 학교를 짓기 위해 필요한 토지를 확보하거나 기존의 학교를 증축하는 목적으로 부과하는 경비다. 가구별 분양가의 0.8%인 부과 요율은 6월 21일부터는 0.4%로 낮아진다. 부과 대상도 100가구 이상에서 300가구 이상으로 완화된다. 이에 따라 건설사와 시행사가 비용을 줄이기 위해 분양 시기를 하반기로 연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올해 들어 민간 주택 공급이 급감한 가운데 공공 분양도 당분간 크게 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평가팀장은 “서울 등 수도권 공급 확대가 쉽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공급 부족 이슈가 꼬리표처럼 따라다닐 것”이라고 말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출 막히나요?" 문의 폭주…이사 앞둔 실수요자 '패닉'
- '초저가' 레스토랑도 아닌데 '바글바글'…아웃백, 잘나가는 이유
- 머지포인트 데자뷔?…선불업 등록 안한 '문화상품권' 주의보
- 5개월만에 '6만전자' 탈환…코스피 반등 기대 커진다
- "이게 3000원이라고?" 우르르…다이소 대박 나더니
- "1억 깎을테니 주말까지 꼭 팔아줘요"…집주인들 '초비상' [현장+]
- 매달 70만원씩 모았더니…5년 뒤 통장에 찍힌 돈이 '깜짝'
- "점심도 포기했어요"…대낮에 강남 직장인들 '우르르' 진풍경 [트렌드+]
- '천당 밑에 분당' 너무 좋아…주민들 만족도 조사해보니
- '진라면' 즐겨 먹었는데…농심 이어 오뚜기도 결국 백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