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체류가 9개월로… 발 묶였던 美우주비행사 무사귀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당초 8일간의 일정으로 지난해 우주캡슐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떠났다가 예기치 않은 문제들로 오랜 기간 발이 묶였던 우주비행사 2명이 9개월여 만에 지구로 돌아왔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18일(현지시간) "ISS 우주비행사 4명을 태운 스페이스X의 지구 귀환용 우주캡슐 '드래건'이 이날 오후 5시57분 플로리다주 탤러해시 앞바다에 안착했다"며 "우주비행사 전원은 무사하며 텍사스주 휴스턴 존슨우주센터에서 머문 뒤 가족과 재회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남녀 2명, 귀환 못 하고 ISS 대기
“왜 안 데려오나” 대선 쟁점되기도
당초 8일간의 일정으로 지난해 우주캡슐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떠났다가 예기치 않은 문제들로 오랜 기간 발이 묶였던 우주비행사 2명이 9개월여 만에 지구로 돌아왔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18일(현지시간) “ISS 우주비행사 4명을 태운 스페이스X의 지구 귀환용 우주캡슐 ‘드래건’이 이날 오후 5시57분 플로리다주 탤러해시 앞바다에 안착했다”며 “우주비행사 전원은 무사하며 텍사스주 휴스턴 존슨우주센터에서 머문 뒤 가족과 재회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지구로 귀환한 우주비행사 4명 중 2명은 지난해 6월 5일 미국 보잉사 우주캡슐 ‘스타라이너’의 시험비행을 위해 ISS로 떠났던 62세 남성 부치 윌모어와 59세 여성 수니 윌리엄스다. 이들의 여정은 당초 8일간으로 예정됐지만 스타라이너에서 결함이 발견돼 즉각 지구로 돌아오지 못했다. 당시 NASA는 안전 문제를 이유로 이들을 태우지 않고 스타라이너를 무인 상태로 귀환시켰다.
윌모어와 윌리엄스의 지구 복귀 시기는 결국 ISS 우주비행사 순환·교대 일정에 맞춰 결정됐다. 그렇게 이들의 우주 체류 기간은 9개월로 늘어났다. 하지만 우주 유영 경험이 풍부한 베테랑 우주비행사인 이들은 ISS 체류 기간 중 언론 인터뷰마다 “각오했던 일”이라며 의연한 모습을 보였다. 윌리엄스의 경우 이 기간에 자신의 우주 유영 시간을 총 62시간으로 늘려 역대 여성 우주비행사 중 최장 기록을 보유하게 됐다.
이들의 ISS 체류는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 때 정치 문제로 번지기도 했다. 당시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가 “윌모어와 윌리엄스를 빨리 귀환시키자는 제안을 조 바이든 행정부가 정치적 이유로 거절했다”고 주장했고, NASA는 즉각 부인했다.
백악관은 이날 엑스에서 “약속은 지켜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9개월간 우주에 묶여 있던 우주비행사들을 구출하겠다고 약속했다. 오늘 그들은 머스크와 스페이스X, NASA 덕분에 안전하게 미국만(멕시코만)에 안착했다”고 밝혔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불닭 질주’ 삼양, 해외 매출 1조원 넘었다…황제주 눈앞
- 귀가하던 11세 초등생, 길 건너다 참변…차에 치여 숨져
- 민주당이 ‘정년연장’ 띄우는 이유는? 좌·우 보듬고 청·장년층 동시 공략
- 교민사회도 ‘탄핵’에 두 쪽… “찬탄·반탄 싸우다 친구마저 잃었다”
- 김새론 사진 올리자 “법적문제”…김수현 ‘2차 내용증명’ 보니
- 이스라엘 공습 재개로 가자지구 휴전 파국 위기
- “5분 충전에 400㎞ 주행”… BYD 전기차 쇼크
- 장원영 악플러 신상 턴 네티즌, 中바이두 부사장 13세 딸
- “북한, 비트코인 보유량 전세계 3위…미국·영국 다음”
- 3시간 엎어 재운 ‘생후 83일’ 아기 사망…부부 검찰 송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