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단체 없는 오월 행사"…올해 기념행사도 '반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상임위원장 선출 과정을 두고 시민단체와 갈등을 빚은 오월 단체가 제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를 탈퇴한 가운데 끝내 행사위에 불참을 결정, 별개의 행사를 추진하기로 하면서 반쪽짜리 행사로 전락했다.
17일 5·18 공법 3단체(부상자회·공로자회·유족회)와 5·18 기념재단 등에 따르면 4개 단체는 이날 오전 내부 회의를 개최한 후 최근 탈퇴한 제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에 그대로 불참, 별개의 행사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야제·추모제 등 기존 행사는 참여
전국화·세계화 도모 별개 행사 준비
최근 상임위원장 선출 과정을 두고 시민단체와 갈등을 빚은 오월 단체가 제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를 탈퇴한 가운데 끝내 행사위에 불참을 결정, 별개의 행사를 추진하기로 하면서 반쪽짜리 행사로 전락했다.
17일 5·18 공법 3단체(부상자회·공로자회·유족회)와 5·18 기념재단 등에 따르면 4개 단체는 이날 오전 내부 회의를 개최한 후 최근 탈퇴한 제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에 그대로 불참, 별개의 행사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행사위 소속 여부와 별개로 기존부터 진행해왔던 전야제와 추모제, 부활제 등의 행사에는 참여한다. 단체는 45주기를 기념해 서울과 경기, 광주, 전남 등 4곳에서 5·18 전국화를 위한 기념행사를 추진한다.
5·18부상자회와 공로자회는 지난 2023년 5·18 43주기 당시 특전사동지회와 ‘용서와 화해를 위한 대국민 공동선언’을 발표해 시민사회와 갈등을 빚고 행사위에서 제명된 바 있다.
이후 5·18유족회만 행사위에 참가했었으나 지난해 부상자회와 공로자회가 대국민 공동선언의 폐기와 광주시민들에 대한 사죄의 뜻을 전하며 올해 행사위부터 다시 참여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올해는 5·18유족회를 포함해 5·18재단도 행사위에서 빠지며 오월 단체 없는 반쪽짜리 오월 행사가 됐다.
앞서 5·18 단체와 시민단체는 상임위원장 선출 과정과 절차상 문제를 두고 갈등을 빚었다. 오월 단체와 시민단체가 격년제로 상임위원장을 선출하기로 했지만, 올해 시민단체가 이를 어겼다는 것이다.
5·18 공법 한 단체 관계자는 "광복절, 4·19 행사와 달리 5·18 행사는 오월 단체가 주최를 하지 못하고 유족들마저 들러리가 되고 있다"며 "기념행사의 방향성도 전국화가 아닌 광주만의 이야기에 머무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5·18 기념행사는 5·18 정신을 선양하고 널리 알리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 50주기를 앞두고 전국화와 세계화를 위해 예행 연습 차원에서 따로 준비하기로 한 것이다"며 "시민단체와의 갈등도 있었지만, 5·18 기념행사의 본질을 찾기 위해 새로운 행사 방향을 마련 중이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5·18행사위원회 관계자는 "5·18 단체와는 같이 행사를 치르기 위해 지속해서 접촉하고 있다"며 "단체가 행사위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현재 5·18 기념행사 진행 방향에 대해 변동된 사항은 없을 것이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민찬기 기자 coldair@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월 1만원 내고 회사 화장실서 살아요"…18세 여성 사연 - 아시아경제
- "침대 밑에 괴물이 있어요"…아이 말에 확인해봤다가 '깜짝' - 아시아경제
- "한국산이 더 좋네" 2조 5000억원 팔렸다…프랑스 제치고 1위한 K뷰티 - 아시아경제
- "먼저 써낸 사람이 임자래요"…접수 첫날 4000건 몰린 '신규 도메인' - 아시아경제
- 일본 여행 필수코스인데 '경악'…전 매장 나흘간 폐쇄 '위생 점검' - 아시아경제
- 창원NC파크 관중 사망 사고…KBO "내일 경기 모두 취소" - 아시아경제
- 건강했던 20대 돌연 사망…원인은 자주 마셨던 '이 음료' 때문이었다 - 아시아경제
- 국민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이준석 "폰지사기와 다를 바 없어" - 아시아경제
- "매일 새벽에 나와" "짬 버리고 있더라"…산불 현장서 닷새째 출근하는 원희룡 - 아시아경제
- 살짝 부딪혀놓고 "입원했어요" 이제 못할 수도…보험업계서 준비 중인 연구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