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김건희-이종호 36번 연락…'증거수집' 딱 짚어낸 헌재
[앵커]
JTBC는 수사가 본격 시작되자 김건희 여사와 주가조작 공범이 일주일 사이 36차례 연락했단 사실을 검찰이 확인하고도 김 여사를 제대로 수사하지 않았다는 점도 보도해 드렸습니다. 헌법재판소 역시 검찰을 향해 왜 김 여사의 문자와 PC 기록을 확보하지 않았느냐고 꼬집었습니다.
이어서 김태형 기자입니다.
[기자]
헌법재판소 결정문에 담긴 의문은 매우 구체적입니다.
[문형배/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어제) : 김건희의 문자나 메신저 내용, PC 기록 등을 확보할 필요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검찰이 다른 공범들의 휴대전화 등은 확보했으면서 정작 김 여사에 대한 증거 수집을 하지 않은 점을 꼬집은 겁니다.
검찰의 수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20년 9월 김 여사는 주가조작 핵심 인물 이종호 씨와 집중 연락합니다.
검찰이 주가조작 사건 고발인으로 황희석 전 법무부 인권국장을 소환 조사한다는 게 언론에 알려진 바로 다음 날, 김 여사가 먼저 이 씨에게 연락을 취합니다.
두 사람은 2020년 9월 23일부터 일주일 사이 총 36차례 연락했습니다.
이 가운데 황 전 국장이 고발인 조사를 받은 첫날에만 9차례 연락을 했습니다.
앞서 2021년 4월 자신의 '계좌 관리인'으로 지목된 민모 씨가 검찰에서 비공개 조사를 받던 날에도 이 씨에게 문자를 보낸 바 있습니다.
그럼에도 검찰은 김 여사의 휴대전화와 컴퓨터를 확보하지 않았습니다.
김 여사에 무혐의를 준 검사들은 파면을 면했지만, 오히려 탄핵 기각 결정이 김 여사 수사의 불씨를 되살렸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이지혜 / 영상디자인 김현주]
◆ 관련 기사
"BP 패밀리 있다" 진술 배척…헌재도 지적한 '도이치 수사'
→ 기사 바로가기 : https://news.jtbc.co.kr/article/NB12238845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악 상황 가정해서 대비"...탄핵심판 선고일 '갑호비상' 발령 | JTBC 뉴스
- [돌비뉴스] '윤 사단 막내' 이복현 반기 들자…권성동 "검사 습관 나오나" | JTBC 뉴스
- 15세 이하만 뽑는다면서 섹시 댄스?…'선정성' 논란 휩싸인 방송 [소셜픽] | JTBC 뉴스
- [팩트체크] "100% 각하 확신"…'대통령 탄핵' 사유는 2가지뿐? | JTBC 뉴스
- 아무리 깨워도 일어나지 않는 승객...알고 보니 '무임승차' | JTBC 뉴스
- 최상목 8번째…명태균 특검 거부하며 "검찰 명운 걸어라" | JTBC 뉴스
- 조갑제 "윤 전원일치 파면 가능성…기각은 '계엄면허' 주는 것" | JTBC 뉴스
- 미 정보당국 "푸틴, 종전 의사 없고 휴전으로 우크라 장악 시도" | JTBC 뉴스
- 대세는 '시간 계산'? 계엄은 내란 아니다? 두 헌법학자 '격론' | JTBC 뉴스
- 김수현 “고 김새론과 성인된 후 교제…변제 촉구한 적 없어”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