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시장, 10년 후 1000조원 규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퇴직연금 시장이 10년 뒤에는 1000조원이 넘는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25일 '퇴직연금 시장 현황 및 전망' 보고서에서 퇴직연금 시장이 2034년 1042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사저널=정혜아 객원기자)
퇴직연금 시장이 10년 뒤에는 1000조원이 넘는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25일 '퇴직연금 시장 현황 및 전망' 보고서에서 퇴직연금 시장이 2034년 1042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퇴직연금 시장은 432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2023년 예상했던 전망치 대비 7조원 늘어난 규모다. 이런 성장세를 반영해 연 평균 9.2% 성장률을 보일 것이란 게 한투신탁의 분석이다.
퇴직연금 제도별로는 향후 10년 간 확정급여형(DB)은 1.8배, 확정기여형(DC)은 2.6배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개인형퇴직연금(IRP)형은 3.6배 커져 퇴직연금 시장 확대를 주도할 것으로 봤다.
DB형은 2024년 말 기준 215조원으로, 전체 퇴직연금 시장에서 약 50%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하지만 2034년에는 389조원으로 비중이 37%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DC형은 118조원에서 302조원으로 규모는 증가하지만 비중은 2024년 말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내다봤다. IRP형의 경우 노령화 등 인구 구조 변화에 따라 99조원에서 351조원까지 증가해 약 34%까지 비중을 높일 전망이다.
운용 방법별로는 원리금 보장형 상품이 2024년 말 356조원에서 2034년 705조원으로, 실적배당형 상품이 75조원에서 338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석진 한국투자신탁운용 연금컨설팅부장은 "국내 60세 이상 인구가 2024년 말 1410만 명에서 10년 후 1910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퇴직연금 시장에 대한 수요도 커질 것"이라며 "고연령대 이직자와 은퇴자 비중이 늘어나 상대적으로 IRP 시장이 빠르게 확장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언론 공정성 침해”…김현정-이준석 ‘방송법 위반’ 피고발 - 시사저널
- 암 이겨낸 윤도현…YB에게 한계란 없다 - 시사저널
- “의과학자 되고파”…15살 ‘최연소 의대생’의 공부 비법은 - 시사저널
- 배구 여왕 김연경의 화려한 ‘라스트 댄스’가 시작됐다 - 시사저널
- ‘20년 검사’ 경력 뺐다? 한동훈 책 저자 소개 논란에…韓 반응은? - 시사저널
- 가상자산거래소 바이비트, 2조원 털렸다…“北 해킹 조직 소행” - 시사저널
- 혈중알코올농도 0.039%인데 음주운전 ‘무죄’, 왜? - 시사저널
- 암 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5계명 [신현영의 건강 주치의] - 시사저널
- “양치기 소년” “진보 배신자”…‘상속세’ 던진 이재명, ‘공공의 적’ 됐다? - 시사저널
- 부모님 도움으로 ‘50억 아파트’ 산 뒤 신고 안 했다가 결국… - 시사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