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행성서 포착된 ‘무지개 빛’ 구름 [여기는 화성]

이정현 미디어연구소 2025. 2. 14. 14: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화성의 지표면을 탐사하고 있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큐리오시티 로버가 황혼 무렵 하늘에서 신비한 구름을 포착했다고 우주과학매체 스페이스닷컴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작년 9월 과학자들은 유럽우주국(ESA)의 마스 익스프레스 궤도선이 20년간 촬영한 이미지를 모아광범위한 화성 구름 지도를 완성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이정현 미디어연구소)화성의 지표면을 탐사하고 있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큐리오시티 로버가 황혼 무렵 하늘에서 신비한 구름을 포착했다고 우주과학매체 스페이스닷컴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공개된 영상에서 붉은 색과 녹색이 언뜻 보이는 신비한 색상의 구름을 확인할 수 있다. 화성에서 이런 구름이 어떻게, 어디에서 형성되는지 연구하면 구름이 행성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큐리오시티가 포착한 화성의 야광운 영상 (출처=NASA/JPL-칼텍/MSSS/SSI)

지난 달 17일 큐리오시티 로버에 탑재된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에는 황혼 무렵의 ‘야광운’의 모습이 담겨있다. 이 구름은 고도가 아주 높은 곳에서 떠다니며 화성의 밤에도 햇빛에 비춰 화려하게 빛나기 때문에 많은 사람의 주목을 끈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에 따르면, 이번 영상은 약 16분 동안 촬영됐고, 공개된 영상은 실제보다 약 480배 속도로 편집해 완성됐다.

NASA 큐리오시티 로버 (사진=NASA/JPL-칼텍/MSSS)

사진 제일 위쪽에 이산화탄소 얼음으로 만들어진 구름이 위치하고 있다. 이 구름은 표면에서 약 60~80km 위에 떠 있었는데, 그곳은 지표면보다 더 시원해서 화성 대기의 이산화탄소가 구름으로 응축된다. 얼음 결정 중 일부는 두껍고 흰색의 깃털로 비처럼 지표면으로 쏟아지다가 약 50km 높이에서 온도가 상승하면서 증발한다.

JPL에 따르면, 큐리오시티가 이런 구름을 목격한 지 4년이 됐다. 이 구름은 일반적으로 화성 남반구에서 초가을에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구름은 1997년 NASA 패스파인더 임무에서 화성 적도 바로 북쪽에서 처음 발견됐다.

2019년 큐리오시티가 화성에서 처음 발견한 야광운의 모습 (사진=NASA/JPL-칼텍)

마크 레몬 콜로라도 우주과학연구소 대기 과학자는 "그 무지개빛 구름을 처음 본 순간을 항상 기억할 것이다. 처음에는 색깔이 있는 인공물이라고 확신했다."라고 밝혔다. 또, "이제는 예측이 가능해져서 미리 촬영 계획을 세울 수 있다. 구름은 정확히 같은 시기에 나타난다"고 덧붙였다.

작년 9월 과학자들은 유럽우주국(ESA)의 마스 익스프레스 궤도선이 20년간 촬영한 이미지를 모아광범위한 화성 구름 지도를 완성했다. 이 지도는 화성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구름 패턴을 카탈로그화했는데 그 중 일부는 지구에서 볼 수 없는 것도 있었다.

화성 구름 지도 제작에 참여했던 독일 항공우주센터 행성 지질학자 다니엘라 티르쉬는 "화성의 구름은 우리가 지구 하늘에서 보는 구름만큼이나 다양하고 매혹적”이라고 밝혔다.

이정현 미디어연구소(jh7253@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