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이재명’ 만났지만···‘친명vs비명’ 신경전 격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으로 조기 대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더불어민주당 내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했다. 유력한 야권 주자인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견제하려는 비이재명(비명)계 주자들의 움직임이 시작됐고,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친이재명(친명)계와 비명계 신경전도 다시 격화하고 있다. 문재인 전 대통령과 이 대표가 30일 만나 손을 맞잡았지만 계파간 긴장 고조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차기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전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일극체제, 정당 사유화라는 아픈 이름을 버릴 수 있도록 당내 정치 문화를 지금부터라도 바꿔나가야 한다”며 이 대표를 직격했다. 김 전 지사는 ‘노무현의 마지막 비서관’이자 ‘원조 친문재인(친문)계’ 인사다.
김 전 지사는 “2022년 대선 이후 치러진 지방선거와 총선 과정에서 치욕스러워하며 당에서 멀어지거나 떠나신 분들이 많다”며 “진심으로 사과하고 기꺼이 돌아오실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적었다. 지난 총선 공천 과정에서 불거진 ‘비명계 공천학살’ 논란에 대해 사과를 요구한 것이다. 그는 “노 전 대통령을 모욕하고 문 전 대통령을 일방적으로 폄훼했던 언행들에 대해서는 발언 당사자의 반성과 사과는 물론 당 차원의 재발방지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전 지사 측 관계자는 통화에서 “당내 분열 구도를 극복하기 위해 선결적으로 이런 문제가 해결돼야 하지 않냐는 점을 강조한 메시지”라고 전했다.
친명계는 즉각 불쾌감을 드러냈다. 김민석 최고위원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당의 단결과 통합을 지켜가는 것이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과제이자 가치”라며 “김 전 지사의 글을 읽어봤는데 어떤 사안을 지적하는 건지 정확히 딱 짚어서 감을 잡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말했다. 친명계 좌장으로 꼽히는 정성호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서 “대선 경선에서 패배한 분들이 또 적극적으로 선거운동을 하지 않았다고 하는 평가도 많이 있다”며 “(총선 결과는) 국민들이 이 대표와 이 대표가 공천한 후보자를 선택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지난 총선 경선 당시 ‘친명횡재 비명횡사’ 논란의 당사자였던 친명계 의원들도 가세했다. 비명계 박광온 당시 의원을 꺾고 공천받은 김준혁 의원은 SNS에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연일 친문계열 인사들이 당내 갈등을 부추기고 있는 것 같아 심히 우려스럽다”고 적었다. 문재인 정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지낸 도종환 당시 의원과 맞붙었던 이연희 의원은 전날 SNS에 “문재인 정부의 공과에 대한 평가는 김 전 지사를 비롯한 당시 인사들의 몫”이라며 “크게 하나가 되자면서 내 책임은 빼고 남의 책임만 언급하는 것은 진정성 있는 자세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차기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비명계 인사들도 속속 이 대표와 당 상황을 언급하며 보폭을 넓히고 있다. 비명계 박용진 전 의원은 이날 SNS에 “(민주당은) 이재명 한 명 탓하는 것으로 쌓여 있는 문제에 눈감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며 당이 ‘내로남불’을 반성하고 극복해야 정권을 교체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28일 SBS 유튜브 채널 인터뷰에서 “이 대표가 (공직선거법) 2심에서 당선무효형 선고가 나온다면 상당히 지장은 있을 것”이라며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언급했다.
신주영 기자 jy@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난공불락 ‘내란 블랙박스’ 경호처 비화폰 서버···그들은 무엇을 감추나
- 오세훈 “문형배 봐라, 뭐가 문제냐”…배보윤·도태우 계속 서울시 인권위원으로 남는다
- 이하늬 60억, 박희순 8억···반복되는 연예인 탈루 의혹 이유는?
- 470억 임금 체불한 박영우 대유위니아 회장 징역 4년
- 성희롱 피해 직원에게 소송비 청구한 남도학숙, 한 푼도 못돌려받는다
- ‘붕괴 사고’ 광주 화정아이파크 800세대 “현산 선처를” 서울시에 탄원, 왜?
- 故 김새론, 유족·지인 마지막 배웅 속 영면
- 47m 옆 또 ‘정관장’···인천공항에만 15개, 매출 반토막난 중소면세점
- 주차된 차량 운전자 살해 후 13만원 훔친 김명현 1심서 징역 30년
- [단독]윤석열·김용현, 계엄 종료 이틀 뒤 곽종근에 5분 간격 전화···곽 “회유 의심돼 안 받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