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불고기용 한우에 양파∙대파∙양념까지…편의점에서 다 살 수 있습니다
1, 2인 가구 늘고 코로나 거치며
근거리·소용량 장보기 확산
편의점, 신선식품 특화 총력전
품목 늘리고, 수시 할인 진행
신선 점포 전환 후 매출 20%↑
신선란 30입 6,900원, 사과 1kg 6,900원
23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한 GS25 편의점은 동네 마트를 방불케 했다. 마트 전단지에서나 볼 법한 계란, 사과 등 주요 식료품 할인 행사는 기본. '오더 메이드'가 가능한 정육 코너는 없지만 부채살 스테이크부터 불고기용 한우, 돼지 목살∙삼겹살까지 냉장 고기 종류만 10여 개에 달했다. 길이 5m가 넘는 냉장 진열대에는 두부와 콩나물, 계란과 채소 등이 빼곡했다. 구룡포손질과메기, 홍어회처럼 동네 마트에서조차 보기 어려운 희귀템도 많았다.
이곳은 신선식품부터 각종 소스류∙조미료∙간편식까지 장보기 상품이 최대 500여 종에 달하는 GS25의 신선강화매장(FCS·Fresh Concept Store)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당시 165m²(약 50평) 규모의 매장을 재단장했다. 감염을 우려해 대형마트 대신 집 근처에서 소소하게 장을 보려는 고객이 늘어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게다가 주변에 한 동(棟) 규모 '나홀로' 아파트와 빌라가 많은 주택가이지만 이렇다 할 동네 마트조차 없었다. 한 50대 주민은 "급하게 채소·고기 등을 사야 하거나 딱 한 끼 해 먹을 소량 재료가 필요할 때 자주 간다"고 했다.
퇴근 후 귀갓길에 들러 도시락이나 과자∙맥주 등 간단한 먹거리를 사는 곳. 편의점 하면 흔히 떠오르는 이미지다. 그런 편의점이 대형마트∙기업형슈퍼마켓(SSM)에 버금가는 주요 장보기 채널로 떠오르고 있다. 갈수록 매장 수가 줄어드는 대형마트까지 가기에는 멀고, 동네 마트를 가자니 식재료 판매 단위가 부담스러운 1, 2인 가구들이 소용량∙소포장을 앞세운 편의점을 찾고 있는 것이다. 이에 편의점 시장의 양강(兩强)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GS25와 CU는 '슈퍼형 편의점' 확대에 힘을 쏟고 있다.
이곳은 마트인가, 편의점인가
2023년 8월 문을 연 경기 안양시 동안구 'CU안양그랜드점'은 CU가 장보기 특화점으로 처음 선보인 매장이다. 규모만 330m²(약 100평)에 달한다. 총 1,200여 가구에 달하는 아파트촌에 자리 잡고 있다. 출점 당시 CU는 인근 아파트 단지에 고령층 거주 비율이 높다는 점에 주목했다고 한다. 그만큼 근거리·소용량 장보기 수요가 많을 거라고 판단한 것이다. 인근 대형마트는 도보 15~20분 거리다. 게다가 왕복 10차선 도로를 가로지르는 육교도 건너야 한다.
문제는 편의점은 마트보다 비싸다는 인식이었다. 이에 CU는 수시로 할인 행사를 진행했다. 실제 기자가 매장을 찾은 이날도 구이용 삼겹살(500g), 한우 불고기(200g) 등 제품에 30%, 50% 할인을 알리는 노란색 스티커가 붙어 있었다. 계란 10입 제품을 하나 사면 하나를 더 주는 '1+1' 행사도 진행 중이었다. CU 관계자는 "상시 할인 덕에 어르신들이 단골 고객이 됐다"며 "마트와 달리 편의점에는 신상 과자나 디저트도 많아 아이와 함께 장을 보고 간식을 사 가는 부모들도 많다"고 했다. 2023년 8월 5곳으로 시작한 CU의 장보기 특화점은 현재 100여 곳에 달한다.
GS25 또한 신선강화매장이 2021년 3곳→2022년 15곳→2023년 253곳→2024년 557곳으로 늘어나고 있다. 아파트, 빌라 등이 밀집한 주택가 상권에 위치한 매장 점주들이 전환을 신청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대형마트 GS더프레시를 통해 신선식품을 통합 소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격이나 신선도 측면에서 여러모로 유리한 측면이 많다. 성과도 좋다. GS25가 기존 편의점을 신선강화매장으로 재단장한 매장의 실적 추이를 분석한 결과 재단장 이전과 비교해 매출이 20%가량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양강 편의점 시장에 뛰어든 이랜드의 '편의마켓'
이랜드는 아예 신선식품 경쟁력을 앞세워 편의점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애슐리(외식)·킴스클럽(대형마트) 등 계열사의 유통 노하우를 접목해 '편장족'을 공략하겠다는 것. 서울에서 운영 중인 '킴스편의점' 5개 매장은 담배를 팔지 않고 채소·과일·정육 등에 집중하고 있다. 애슐리의 가정간편식(HMR)까지 판매한다. 편의점과 SSM의 중간 형태인 셈이다. 2024년까지 킴스편의점 테스트를 마치고 올해부터 본격 가맹 사업을 착수하겠다는 게 이랜드의 계획이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편의점 매장 수가 5만여 개에 달하는 점을 고려하면 신선식품 특화 매장 비중은 미미한 수준이나 성장 속도가 꽤 빠르다"며 "일본처럼 한국도 편의점이 점포 크기를 키우고 신선식품 비중을 늘리는 식으로 슈퍼마켓화(化)가 진행될 것 같다"고 했다.
안양= 박준석 기자 pjs@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與, 이재명-문형배 친분설 집중 공격... "정치적 논란에서 철저히 독립해야" | 한국일보
- 안내방송 없었다? 에어부산 "안내방송 시행할 시간적 여력 없어" | 한국일보
- '암 투병' 초아 "5년 뒤 꿈은 완치 판정... 마음 다잡아본다" | 한국일보
- 김건희 특검은 뒷전? 민주당은 웬만해선 그녀를 놓지 않는다 | 한국일보
- 3평 구치소에서 설날 맞은 윤 대통령... 떡국 먹고 탄핵심판 대비 | 한국일보
- 김경수, 이재명 향해 "치욕스러워하며 당 떠난 분들에 사과해야" | 한국일보
- '버거보살' 노상원도 찾아간 '대수장', 尹 정부서 어떻게 영향력을 키웠나 | 한국일보
- 전현무, 'MBC 연예대상' 3번째 대상… '어대유' 깨고 누린 영광 [종합] | 한국일보
- 中 커제발(發) 역대급 ‘반상반한(盤上反韓)’ 한파 여파 ‘일파만파’ | 한국일보
- 신현준 "故 김수미, 마지막 통화서 '아들 사랑해' 했다" [인터뷰]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