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앉아서 일하나요?"… 어젯밤 당신이 불면증 시달린 이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앉아서 일하는 직장인이 불면증에 걸릴 위험이 그렇지 않은 직장인에 비해 훨씬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15일(현지시각) 미국 CNN은 지난 7일 직업 건강 심리학 학술지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보도했다.
연구에 따르면 주로 좌식 근무를 하는 근로자의 경우 불면증에 걸릴 위험이 약 37% 높았다.
불면증 환자 90%는 10년 후에도 불면증 증상을 계속 겪거나 심혈관 질환·당뇨·우울증 등 다른 건강 문제를 겪을 위험이 72~188% 더 높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15일(현지시각) 미국 CNN은 지난 7일 직업 건강 심리학 학술지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보도했다. 이 연구는 10년 동안 1000명 이상의 미국 근로자 데이터를 분석해 직무가 수면 패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다.
참가자들은 연구 초기(2004~2006년)와 10년 후(2013~2017년)에 수면 습관을 보고했다. 수면 건강 지표 6가지는 수면 시간, 규칙성, 불면증 증상, 낮잠 습관, 낮 동안 피로감, 잠들기까지 걸리는 시간 등이었다.
연구에 따르면 주로 좌식 근무를 하는 근로자의 경우 불면증에 걸릴 위험이 약 37% 높았다. 불규칙적으로 일하거나 야간 근무를 하는 경우엔 추가 수면시간이 필요할 확률이 66% 더 높았다.
연구를 이끈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 심리학과 클레어 스미스 조교수는 "수면은 직원의 생산성과 행복에 중요하지만, 우리 직무가 수면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블루칼라(육체노동자) 집단은 힘든 교대 근무로 수면 시간이 더 필요하지만, 화이트칼라(사무직 노동자)는 잠을 잘 자거나 아예 못 자는 경우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불면증 환자 90%는 10년 후에도 불면증 증상을 계속 겪거나 심혈관 질환·당뇨·우울증 등 다른 건강 문제를 겪을 위험이 72~188% 더 높았다.
스미스 교수는 많은 이들이 직업을 바꾸는 것이 현실적이지 않다는 점을 인정하면서 근로 중 조그마한 변화를 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예를 들어 앉아서 일하는 직장인이라면 짧게라도 시간을 내 움직여야 한다. 사무실을 잠시 걷는 것만으로도 수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루이스 부에나베르 박사는 잠자기 2시간 전 휴대전화와 컴퓨터 등 전자기기를 아예 꺼두고 근무 시간 외에는 일하지 않도록 규칙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김다솜 기자 dasom0209@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 대통령, 3평 구치소 독방서 첫날 밤… 경호처 일부 인원 '구금경호' - 머니S
- "오늘만 같아라?"… 윤 대통령 체포일, '운세 100점' 아이러니 - 머니S
- 최준용, 윤 대통령 체포에 눈물… "무슨 죄를 지었다고 잡혀가냐" - 머니S
- "김건희, 해군 함정서 술파티에 폭죽놀이"… 추미애, 의혹 제기 - 머니S
- "프로포폴 중독"… 김준수 8억 뜯은 BJ, 징역 7년 구형 - 머니S
- 김건모 향한 그리움… 박명수 "형 사랑해, 목소리 듣고파" - 머니S
- 서울중앙지법, 윤 대통령 체포적부심 기각… '체포 유지' - 머니S
- PD 만류에도… 구혜선 "모자 못 벗어" 태도 논란 불거진 이유 - 머니S
- 체포된 윤 대통령, 향후 이동시 경호차량 아닌 호송버스 이용할 듯 - 머니S
- 태영 이어 '건설 부실 리스트' 예고… 시공능력 상위업체 포함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