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기회 또 없다” 실체 없는 정치 테마株 급등에 최대주주·친인척은 차익 실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계엄 사태 이후 탄핵 정국이 이어지면서 기업의 내실과는 무관하게 유력 정치인 테마주로 묶인 기업의 주가가 급등했다.
이를 놓치지 않고 최대주주와 친인척은 지분을 팔아 억대의 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스타코의 최대주주 김승제 회장은 거래 중단 전 주식을 처분하며 30억원대 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계엄 사태 이후 탄핵 정국이 이어지면서 기업의 내실과는 무관하게 유력 정치인 테마주로 묶인 기업의 주가가 급등했다. 이를 놓치지 않고 최대주주와 친인척은 지분을 팔아 억대의 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테마주로 묶인 부동산 회사 이스타코는 7영업일 사이에 상한가를 4번 기록했다. 지난 2일 종가 기준 632원을 기록했던 이스타코 주가는 지난 11일 2375원에 거래를 마쳤고, 한국거래소는 12일 주식 거래를 중단시켰다.
이스타코의 최대주주 김승제 회장은 거래 중단 전 주식을 처분하며 30억원대 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회장은 이스타코가 투자주의 종목에 지정된 9일과 10일 17만주를 장내에서 처분했다. 이에 김 회장의 지분율은 2015년 33%에서 20%까지 낮아졌다. 김 회장이 주식을 매도한 건 2022년 8월이 마지막이었다.
기회를 놓치지 않고 급등한 주식을 매도한 건 최대주주의 친인척도 마찬가지였다. 회장이 이 대표와 동문이라는 이유로 테마주에 묶인 중장비 종합전장품회사 프리엠스 주가는 지난 2일 1만1650원에서 오르기 시작, 10일 1만9360원을 찍었다.
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인 정복희씨와 신명숙씨는 10일과 11일 보유 주식을 팔아치웠다. 이들은 이를 통해 각각 10억원대 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복희씨는 주도식 회장의 친인척이며, 신명숙씨는 박흥식 대표의 친인척이다.
감사로 있는 최상훈씨가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고등학교·대학교 동문으로 알려지면서 테마주로 묶인 PN풍년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지난 2일 종가 6500원이었던 PN풍년 주가는 지난 12일 1만1150원까지 올랐었다.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자인 유의화씨는 주가가 하락하기 직전인 지난 10일과 12일 장내 매도를 통해 4억원가량의 차익을 거뒀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르포] 삼겹살에 소주 한 잔, 필리핀 마닐라에 녹아든 하이트진로
- 래미안 원베일리 165억원 최고가 거래… 매수자는 메가커피 창업자
- 간격 넓고 편의용품도 주고… ‘프리미엄 이코노미’ 늘리는 LCC
- SK하이닉스, 엔비디아와 HBM4 협상 마무리 단계… ‘HBM 1위’ 자리 굳힌다
- 감히 내 아들을 탈락시켜?… 트럼프, ‘하버드 때리기’ 속내는
- 삼성전자, 차세대 펠티어 냉각 기술 확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게재
- 카리나 입은 ‘빨간색 숫자 2′ 바람막이, 70만원 넘지만 ‘품절 임박’
- [메드테크, 우리가 국대다]⑦ ‘뇌가 먹는 약’ 디지털 치료제…뇌졸중 후유증 정복한다
- 美 “중국산 항만 크레인, 안보에 위협”… 韓에 기회올까
- 이준석 ‘지역별 최저임금’ 공약… “임금 현실화” vs “지방소멸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