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용 초순수 국산화에 수자원공사·SK하이닉스 '맞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SK하이닉스가 내년부터 국내 기술로 생산한 반도체용 초순수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협약으로 SK하이닉스는 내년부터 국내 기술로 생산한 초순수를 수자원공사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는 "반도체 생산을 위해 꼭 필요한 용수 공급관리를 한국수자원공사와 협력하게 됐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글로벌 반도체 경쟁력을 높이고 국내 초순수 산업 육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내년부터 국내 기술로 생산한 반도체용 초순수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SK하이닉스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 11일 서울 글래드호텔에서 '용수공급 시설 운영·관리 및 통합 물 공급 기본 협약'을 맺었다고 13일 밝혔다. SK하이닉스에 초순수를 비롯한 공업용수 등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이날 협약으로 SK하이닉스는 내년부터 국내 기술로 생산한 초순수를 수자원공사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초순수란 물속에 포함된 이온과 불순물과 등을 제거해 물 분자만 존재하는, 이론적인 순수에 가장 근접한 물을 말한다. 반도체 웨이퍼(원판) 등을 제조할 때 꼭 필요하지만, 그간 외국에서 수입했다.
반도체 웨이퍼 제조업체인 SK실트론과 수자원공사는 2021년부터 정부 연구과제를 맡아 초순수 국산화를 추진해 왔다. 국내외 반도체용 초순수 시장은 2028년까지 약 9조5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수자원공사는 예상했다.
윤석대 수자원공사 사장은 "국내 초순수 기술을 국산화해 국가 주력 첨단산업인 반도체 산업의 안보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는 "반도체 생산을 위해 꼭 필요한 용수 공급관리를 한국수자원공사와 협력하게 됐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글로벌 반도체 경쟁력을 높이고 국내 초순수 산업 육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영주 기자 ange@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버지의 마지막이 병원 침대가 아니어서 다행입니다"[내 집을 시니어하우스로] - 아시아경제
- 47억에 팔렸다…버려진 아파트서 우연히 발견한 '이 작품' 알고 보니 - 아시아경제
- 코로나보다 더 큰 게 왔다…카페·술집들 곡소리나더니 - 아시아경제
- 단어 하나 빼먹었다가 2100만원 벌금 폭탄…날벼락 맞은 아디다스 - 아시아경제
- "이사한 뒤 두통 심해져" 치매 진단받은 30대…원인은 집 안에 있었다 - 아시아경제
- 심하면 실명까지…일본·미국 이어 한국서도 급증 중인 '이 성병' - 아시아경제
- 변기보다 20배 더러운 '이것'…신고 잤다가는 세균 '급증' - 아시아경제
- "대통령감 아냐"…이준석, 차기 대선 주자 '비호감' 1위 - 아시아경제
- 물에 빠진 사람 구한 백마, 며칠만에 세상 떠나…동상 세운다 - 아시아경제
- 이수지 패러디에 긁혔나…"못 입겠다" 중고로 쏟아진 '대치맘 단체복'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