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멀리포트] 수컷 모기, 암컷 날갯소리 들으면 눈이 확 뜨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변에서 모기가 왱왱대며 날아다니는 소리가 들린다.
연구를 이끈 제프리 리펠 워싱턴대 교수는 "수컷 모기가 암컷의 날갯짓 소리를 들으면 시각적 반응이 급격히 바뀌는 것으로 보인다"며 "모기가 서로 떨어져 있는 두 물체를 구분하는 능력은 인간보다 약 1000배 낮은 정도로, 많은 기능을 하기보다는 다른 물체를 피할 때 주로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변에서 모기가 왱왱대며 날아다니는 소리가 들린다. 암컷 모기가 피를 빨아먹기 위해 움직인다는 의미다. 이 소리를 들으면 사람들은 모기를 잡을 도구를 찾지만, 수컷 모기는 더 나은 시력으로 암컷 모기를 찾아다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 워싱턴대 연구진이 수컷 아노펠레스 콜루지이(Anopheles coluzzii) 모기가 암컷 모기 특유의 날갯짓 소리를 들으면 시각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밝혀 31일 공개했다. 아노펠레스 콜루지이는 아프리카에서 말라리아를 퍼뜨리는 주요 모기다.
일반적으로 모기는 후각이나 청각은 발달했으나 시각은 그렇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소리를 듣거나 냄새를 맡아 주변을 파악한다. 연구진은 모기의 감각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했다. 모기에게 특정 소리를 들려주면서 주변 모니터에 점을 띄워 시각적으로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본 것이다.
실험 결과, 수컷 모기는 들리는 소리에 따라 주변 대상에 다르게 반응했다. 암컷의 날갯짓 주파수인 450㎐(헤르츠, 주파수의 단위)의 소리를 들었을 때는 모니터의 점 쪽으로 선회했다. 그리고 목표하는 대상에 시선을 고정하고 재빠르게 움직였다. 반면 수컷의 날갯짓 주파수에 가까운 700㎐의 소리에는 시각적으로 반응하지 않았다.
모기가 물체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도 중요했다. 모니터 점들이 모기 몸길이의 3배 이상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면 암컷 모기의 날갯짓 소리가 들려도 반응하지 않았다. 일정 범위 안으로 다른 수컷이 접근하면 빠르게 가속해 멀어졌다. 수컷 모기가 가까운 개체를 시각으로 감지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를 이끈 제프리 리펠 워싱턴대 교수는 “수컷 모기가 암컷의 날갯짓 소리를 들으면 시각적 반응이 급격히 바뀌는 것으로 보인다”며 “모기가 서로 떨어져 있는 두 물체를 구분하는 능력은 인간보다 약 1000배 낮은 정도로, 많은 기능을 하기보다는 다른 물체를 피할 때 주로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워싱턴대 연구진은 “모기가 청각과 시각을 사용하는 방식을 참고해 모기를 퇴치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할 수 있다”며 “기존 살충제는 저항성 문제가 있어 새로운 유인 장치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31일 공개됐다.
참고 자료
Current Biology(2024), DOI: https://doi.org/10.1016/j.cub.2024.07.043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 “기대 부응 못해 안타깝고 죄송”... 대통령실, 봉황기 내렸다
- 헌재,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 대선 6월3일 이전에 실시
- 역사상 ‘두 번째 파면’ 오명 ... 강골검사 출신 대통령이 탄핵되기까지
- 美 관세 폭탄, 당장은 삼성보다 애플에 악재지만… 트럼프가 아이폰에 면죄부 주면 상황 반전
- ‘고병원성 AI에 미국 수출까지’… 날개 단 달걀값, 식탁물가 불안 가중
- ‘무노동 무임금’ 비웃는 기업은행·신보·캠코… ‘정직’ 직원에 여전히 보수 지급
- [단독] 뉴진스 부모 사이 균열?… 일부 부모 전속계약 해지 ‘반대’ 정황
- 우울증이 ‘대박’ 아이템으로… “망했더니 다음이 보이더라”
- [금융포커스] 은행원 옥순·광수 나온다… 국민·하나·우리 뭉쳐 ‘나는 솔로’ 기획
- mRNA 백신의 ‘문단속’ 찾았다…“안전하고 효율적인 백신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