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궁 3관왕 임시현, 국기에 대한 맹세문 낭독
제79주년 광복절인 15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개최된 정부 공식 경축식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독립 유공자 유족, 2024 파리 올림픽 메달리스트들, 각계 주요 인사 및 대표, 주한 외교단, 시민, 학생 등 2000여 명이 참석했다.
파리 올림픽에서 양궁 3관왕을 달성한 임시현 선수가 국기에 대한 맹세문을 낭독했다. ‘거리의 성악가’ 노희섭씨가 애국가를 부르고 미래 세대 소프라노 남예지, 국방부 성악병, 어린이 합창단이 함께 선창했다. 만세삼창은 독립운동가 허석 선생의 후손으로 이번 파리 올림픽 유도 은메달리스트인 허미미 선수와 방위사업청에서 한국형 전투기 개발 사업을 총괄하는 조은애 중령, 파리 올림픽 양궁 3관왕 김우진 선수가 진행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광복회 등 일부 단체의 공식 행사 불참에 대해 “독립 유공자와 유족 등 국민 2000여 명이 참석해 광복의 역사적 의미를 함께했다”며 “특정 단체가 불참했다고 해서 일각에서 주장하는 반쪽 행사라는 표현은 맞지 않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독립운동과 광복의 주체가 광복회 혼자만이 아니다”라며 “특정 단체가 인사 불만을 핑계로 빠졌다고 해서 광복절 행사가 훼손된다고 보지 않는다”고 했다. 대통령실은 정부가 추진한 적도 없는 건국절 계획을 철회하라는 억지 주장에 대해선 엄정 대응할 방침이라고 한다.
윤 대통령 부부는 이날 경축식 참석에 앞서 별세 50주년을 맞은 고(故) 육영수 여사의 묘역을 참배했다. 윤 대통령은 전날 박근혜 전 대통령과 통화를 하고 육 여사를 기리는 뜻을 전했다고 정혜전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유족인 박지만 이지그룹 회장에게 “여사님이 돌아가신 날을 생생하게 기억한다”고 했고, 김 여사는 박 회장 가족들의 안부를 물었다고 한다. 윤 대통령은 방명록에 “국민들의 어진 어머니 역할을 해주신 육 여사님을 우리는 지금도 잊지 않고 있습니다”라고 적었다.
이날은 윤 대통령의 부친 고 윤기중 연세대 명예교수의 별세 1주년이기도 하다. 윤 대통령은 경축식 참석 이후 가족들과 함께 조용히 부친을 추모했다고 한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협, 수출입 기업 위한 新외국환 거래 제도 설명회 개최
- “尹이 체포 지시” 검찰 조서 헌재서 공개…尹측 항의 퇴장
- 與 ‘AI 3대 강국’ 도약 위한 2조 ‘핀셋 추경’ 제안
- 박상우 국토장관, 지방 DSR 완화 요구에 “효과 의문”
- ‘불법대출 혐의’ 상상인 유준원 대표, 1심서 징역 4년... 법정 구속은 피해
- 작년 가계빚 41조 늘어난 1927조원...역대 최고치
- 진선규 “집에선 가정폭력, 학교선 이유 없이 맞았다” 고백
- 부산 해운대에 게임산업 앵커시설 선다…‘게임융복합스페이스’
- ‘北지원 부당지시’ 혐의 이화영 최측근, 1심서 징역형 집행유예
- ‘60세 훌쩍 넘어도 고액 연봉’ 새마을금고 이사장 1102명 뽑는 선거 스타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