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도, 올림픽 3회 연속 ‘노골드’ 불명예 [이종세의 스포츠 코너]

2024. 8. 5. 10: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리올림픽에서 은메달 2개 동메달 3개에 그쳐
2016년 리우, 2020 도쿄대회 이어 우승자 없어
특정학맥 협회운영, 심판구성 등 문제점 개선해야

한국 유도가 올림픽에서 3회 연속 ‘노골드’의 아쉬움을 남겼다. 한국은 4일 새벽(한국시간) 끝난 제33회 파리 하계올림픽 유도 경기 마지막 혼성 단체 동메달 결정전에서 독일에 4대3으로 신승했다.

이로써 한국은 남자 100kg이상급 김민종(24·양평군청)과 여자 57kg급 허미미(22·경북체육회)가 은메달, 남자 81kg급 이준환(22·용인대)과 여자 78kg이상급 김하윤(24·안산시청)이 동메달을 따 금메달 없이 은메달 2개, 동메달 3개를 기록했다.

허미미(아래)가 2024 파리올림픽 여자유도 –57㎏ 결승전을 치르고 있다. 위는 우승을 차지한 크리스타 데구치. 사진=연합뉴스 제공
이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은 2, 동 1)과 2020 도쿄올림픽(은 1, 동 2)에 이어 3회 연속 올림픽에서 우승자를 배출하지 못한 명예스럽지 못한 결과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특정 학맥 위주의 협회 운영과 심판진 구성, 선수 선발, 훈련 방식 등을 개선해야 하고 장기적 안목에서 유도 인구 저변 확대를 위한 노력을 배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역대 올림픽에서 금 11, 은 19, 동 21개 획득
한국 유도는 1984년 로스앤젤레스올림픽에서 남자 71kg급 안병근과 95kg급 하형주 가 동반 우승하면서 올림픽 금메달 레이스를 펼쳐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남자 81kg급 김재범, 남자 90kg급 송대남이 우승할 때까지 2000년 시드니 올림픽(은 2, 동 3)만 제외하고 꾸준히 금메달 행진을 벌여왔다.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는 남자 60kg급 김재엽, 남자 65kg급 이경근이 우승했고,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여자 72kg급 김미정이 정상에 올라 ‘금맥’을 이었다.

또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남자 86kg급 전기영과 여자 66kg급 조민선이 금메달을 땄고,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서는 남자 73kg급 이원희,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는 남자 60kg급 최민호가 각각 우승해 한국 유도의 체면을 세웠다.

한국은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유도가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60년간 금메달 11개, 은메달 19개, 동메달 21개를 획득했다.

한국 김민종, 프랑스 리네르에게 한판패
하지만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남자 66kg급 안바울과 여자 48kg급 정보경이 각각 은메달에 머물렀고 2020 도쿄올림픽에서는 남자 100kg급의 조구함이 준우승에 그치는 등 금메달과의 인연을 잇지 못하고 주저앉았다.
김민종(오른쪽)이 제33회 프랑스 파리하계올림픽 남자유도 +100㎏ 결승전 패배 후 경기장을 나서고 있다. 왼쪽은 금메달을 획득한 테디 리네르. 사진=연합뉴스 제공
이번 파리올림픽 결승에서도 남자 100kg이상급 김민종(1m 84·135kg)은 지난 5월 세계선수권대회 우승으로 세계랭킹 1위에 올랐음에도 상대인 프랑스의 테디 리네르(35·2m03·139kg)에게 허리후리기 한판을 허용, 현저한 기량차를 보였다. 리네르는 올 세계선수권대회에 불참했다.

카리브해 프랑스령 과들루프섬 레자빔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성장한 리네르는 2007년부터 세계선수권대회를 9연패 했고, 2012 2016 2020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프랑스의 유도 영웅. 이번 올림픽 개회식에서는 성화 최종 점화의 주역을 맡기도 했다.

한국유도, 대한양궁협회 운영을 벤치마킹해야
2004년 아테네, 2008년 베이징, 2012년 런던 등 3개 올림픽 유도에서 연속 종합 3위를 했던 한국이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이후 상위권에서 멀어진 것에 대해 유도계에서는 협회 운영과 선수 선발, 훈련 방식의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정 대학 출신 위주의 심판진 구성 등 협회 운영을 재검토해 획기적인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멀리 갈 것도 없이 대한양궁협회를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의선(가운데) 현대자동차그룹 제2대 회장이 대한양궁협회 제13대 회장으로서 파리올림픽 전 종목 석권 소감을 말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이번 파리올림픽에서 여자단체 10연패, 남자단체 3연패 등으로 5개의 금메달을 싹쓸이한 한국 양궁은 임원 선임, 심판진 구성, 선수 선발 등이 공정하기로 이름나있고 그 결과가 이번 올림픽에서도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대한양궁협회는 1980년대 창설 때부터 현대자동차 정몽구, 정의선 회장 부자가 이어 맡으며 세계 최강의 경기력을 유지하고 있다.

이종세(대한언론인회 부회장·전 동아일보 체육부장)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