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어로, 레이저무기 세계 최초 실전배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레이저를 무기로 활용하는 시대가 열린다.
외국에서 레이저 무기 기술을 개발 중인 사례는 많지만, 정식으로 군에 실전 배치하는 것은 한국이 처음이다.
11일 군에 따르면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Ⅰ의 양산에 착수한다.
이 무기는 광섬유에서 생성한 레이저를 표적에 비춰 무력화하는 것으로, 북한의 소형 무인기 등을 정밀 타격할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레이저를 무기로 활용하는 시대가 열린다. 외국에서 레이저 무기 기술을 개발 중인 사례는 많지만, 정식으로 군에 실전 배치하는 것은 한국이 처음이다.
11일 군에 따르면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Ⅰ의 양산에 착수한다. 이 무기는 광섬유에서 생성한 레이저를 표적에 비춰 무력화하는 것으로, 북한의 소형 무인기 등을 정밀 타격할 수 있다. 레이더로 탐색한 무인기의 궤적을 따라다니면서 레이저를 10∼20초가량 조사(照射)해 섭씨 700도 이상의 열에너지를 가함으로써 표적 무인기 내부의 엔진이나 전자장비를 태우는 방식이다.
전기만 공급되면 운용이 가능하고 1회 발사 시 소요 비용은 약 2000 원에 불과하다. 눈에 보이지 않고 소음이 발생하지도 않는다. 탄약을 쓰는 기존 대공포와 달리 낙탄에 따른 피해 우려가 없으므로 도심 등에서도 사용이 수월하다.
블록-Ⅰ의 사거리는 2∼3㎞ 정도로 알려져 사거리가 길지는 않으나 북한 무인기들이 운용되는 고도 역시 이 정도 수준이어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해 4월 시험 평가에서는 3㎞ 밖의 무인기 30대를 향해 레이저를 30회 발사하고 모두 맞혀 명중률 100%가 나왔다.현재는 출력이 낮아 소형 무인기가 대상이지만, 향후 출력을 키우면 항공기나 탄도미사일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Ⅰ은 레이저를 무기에 적용하는 '한국형 스타워즈 프로젝트'의 첫 번째 사업이다. 2019년 8월부터 예산 871억 원이 투입됐다. 지난해 4월 전투용 적합 판정이 내려졌고 지난달 방사청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양산 계약을 체결했다. 연내 군에 인도돼 운용될 예정이다.
양낙규 군사전문기자 if@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은 끝났다…아마 돌이킬 수 없을 듯" 섬뜩 경고 날린 2380만 유튜버 - 아시아경제
- 음료 '딱 한 모금' 마셨는데 사망…기도에서 곰팡이 자라고 있었다 - 아시아경제
- 2000만t 희토류 '잭팟' 터졌다…단숨에 세계 3위된 이곳 - 아시아경제
- 고혈압 환자에겐 '독'이 될수도…꼭 피해야 할 '이 음식' - 아시아경제
- "안전한 나라인 줄 알았는데"…20대 한국인 유학생 대만서 흉기에 찔려 - 아시아경제
- 로또 1등 당첨자 5명 모두 '용산'서 샀다…동일인이면 100억 수령 - 아시아경제
- 박근혜·노무현 때는 안그랬는데…헌재, 尹 결정문 '결론' 5쪽 쓴 이유 - 아시아경제
- "주식 시장 20% 폭락은 의도한 것" 트럼프가 올린 동영상 사실은 - 아시아경제
- "행운 온다" 너도 나도 쓱쓱…동상 가슴 훼손에 칼 빼든 도시 - 아시아경제
- "맨발로 팬티 입으면 피부병 생긴다"…이유가 뭐길래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