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지역 마을공동체 표상 농기(農旗), 기증·기탁 이어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산하 충남역사박물관은 최근 도내에서 농기(農旗) 4점을 기증·기탁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민정희 충남역사박물관장은 "마을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농기 기증·기탁을 결단해주신 주민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지속적인 연구와 복원은 물론 활발한 전시와 교육, 연구 등을 통해 농기의 가치를 알리는 데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산하 충남역사박물관은 최근 도내에서 농기(農旗) 4점을 기증·기탁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공주시 우성면 도천리 용대기(1737년 최초 제작, 1936년 중수)와 동대리 신농기(1697년 최초 제작, 1960년대 중수), 의당면 오인리 대본기(1824년 최초 제작, 1910년대 중수), 부여 출신 사헌 상성규 화백이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출연했던 용대기(1990년대 제작)다.
연구원에 따르면 농기는 17세기 이래 한국사회 전통을 잇는 농경문화 산물이자 마을의 위용을 드러내는 상징으로, 농번기 두레의 현장에 세워 두레의 시작을 온 마을에 알리는 역할을 해 마을공동체의 표상으로 여겨져 왔다.
기폭에 그려진 도상과 글씨에 따라 용이 그려진 용대기(龍大旗), 명문(銘文)을 묵서한 신농기(神農旗)와 대본기(大本旗) 등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현재 공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금강문화권에만 110여 점 이상이 남아있으며, 내포문화권에도 용대기를 위주로 한 90여 점이 전해지고 있다.
연구원은 지난 2022년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농기로 알려진 공주 교동 금정 농기(일명 '박문수 농기', 1664년 창설 기록) 기증을 시작으로 지역 농기에 대한 지속적인 수집과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는 금강유역 농기문화를 집대성한 '금강유역의 농기와 농기문화(강성복 저)'를 출간했으며, 기증 농기는 실물과 거의 동일한 복제품을 제공해 마을에서 소중한 전통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민정희 충남역사박물관장은 "마을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농기 기증·기탁을 결단해주신 주민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지속적인 연구와 복원은 물론 활발한 전시와 교육, 연구 등을 통해 농기의 가치를 알리는 데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충남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기 대선 후 '대통령실' 어디로…'세종 시대' 열리나 - 대전일보
- 尹 파면…김건희 주가조작·공천개입 등 사건 재수사는 - 대전일보
- 성심당 지난해 매출 2000억 육박…2년 연속 영업이익 뚜레쥬르 앞서 - 대전일보
- 우원식 국회의장, 오늘 긴급 기자회견 "개헌 공식제안 예정" - 대전일보
- 격랑의 정국…충청의 '현명한 선택'이 운명 가른다 - 대전일보
- 우 의장 "조기 대선일 개헌 국민투표 동시 시행 제안" - 대전일보
- 홍준표 "마지막 꿈 찾아 상경한다" 대선 출마 재시사 - 대전일보
- 윤 정부 경기지수 계엄 후 급격히 하락…임기 최저치 기록 - 대전일보
- 6·3 장미대선 무게…60일간 레이스 본격 돌입 - 대전일보
- 관세전쟁에 시진핑 웃는다?…"중국에 오히려 유리" WSJ - 대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