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축구 '치욕 기록' 남겼다"…역대 첫 2경기 연속 무득점에 16강마저 '좌절 위기'

김명석 2024. 1. 18. 05: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yonhap photo-4758="">중국 축구대표팀 류양과 레바논 이브라힘 알오마리가 17일 열린 2023 AFC 아시안컵에서 볼 경합을 펼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yonhap>
중국 대표팀 공격수 우레이(오른쪽)가 17일 레바논과의 2023 AFC 아시안컵 조별리그 A조 2차전에서 골키퍼에 막히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
<yonhap photo-4905="">17일 카타르 도하 앗수마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조별리그 A조 레바논과 중국의 경기. 중국 우레이가 골찬스를 놓친 뒤 아쉬워하고 있다. 연합뉴스</yonhap>

반전은 없었다. 중국 축구대표팀의 추락이 이어지고 있다. 아시안컵 출전 이래 역대 최악의 기록을 남겼고, 13년 만에 조별리그 탈락 위기까지 몰렸다. 중국 언론들은 애써 16강 진출을 위한 경우의 수를 따지고 있지만, 실력이 아닌 운이 따라야 한다는 게 결론이다.

알렉산다르 얀코비치(세르비아) 감독이 이끄는 중국은 17일(한국시간) 카타르 도하의 알투마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조별리그 A조 2차전에서 레바논과 0-0으로 비겼다.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은 중국이 79위, 레바논은 107위다.

앞서 1차전에서 FIFA 랭킹 106위 타지키스탄과도 득점 없이 비겼던 중국은 2경기 연속 무득점 무승부에 그치며 승점 2 획득에 그쳤다. 16강 진출은 각 조 1, 2위 팀과 6개 조 3위 중 성적이 좋은 상위 4개 팀에 돌아가는데, 최종전에서 승점을 쌓지 못하면 사실상 조 3위를 통한 16강 진출 가능성도 어렵다. 중국의 16강 명운이 걸린 조별리그 마지막 상대는 개최국이자 ‘디펜딩 챔피언’ 카타르다.

이날 중국은 60.2%의 볼 점유율을 유지하며 주도권을 쥐었고, 슈팅 수에서도 15-12로 앞섰다. 유효 슈팅수는 7-5였다. 그러나 비어 있는 골문에 찬 슈팅이 달려들던 수비수에 막혀 득점으로 연결되지 않는 등 극악의 골 결정력 속 결국 득점 없이 비겼다. 슈팅 수에서 무려 10-20으로 열세였던 지난 타지키스탄전보다는 나아진 경기력이라고는 하나, 벼랑 끝에 몰리고도 승리를 따내지 못한 결과는 다르지 않았다.

특히 조별리그 1, 2차전 연속 무득점에 그친 기록은 중국 언론조차 ‘치욕’이라고 표현할 정도의 불명예 기록이다. 중국 소후닷컴은 “중국 대표팀이 FIFA 랭킹 106위, 107위와 잇따라 연속 무승부에 그치자 팬들과 언론의 성토를 받고 있다. 결국 48년 전 아시안컵에 출전한 이래 처음으로 조별리그 첫 2경기에서 골을 넣지 못하는 또 하나의 치욕적인 기록을 남겼다”고 비판했다. 중국은 지난 1976년 대회부터 아시안컵에 출전 중인데, 2경기 연속 무득점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회가 없던 건 아니었다. 전반 44분엔 장위닝과 우레이의 슈팅이 잇따라 모스타파 마타르 골키퍼의 벽을 뚫지 못했고, 후반에도 장린펑의 헤더가 골키퍼 품에 안기는 등 번번이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 특히 후반 20분엔 다이와이춘의 슈팅을 골키퍼가 쳐내자, 우레이가 문전에서 재차 슈팅한 공을 레바논 수비수가 골 라인 바로 앞에서 걷어냈다. 오히려 중국은 두 차례나 상대 슈팅이 크로스바에 맞아 실점으로 연결되지 않는 등 운도 따른 경기였다.

중국 대표팀 다이와이춘이 17일 레바논과의 2023 AFC 아시안컵 조별리그 A조 2차전에서 슈팅을 시도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
중국 축구대표팀 주천제(왼쪽)와 레바논 바셀 즈라디가 볼 경합을 펼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

이날 무승부로 중국의 16강 진출 가능성은 매우 희박해졌다. 레바논전 전만 하더라도 중국 언론들은 ‘생사의 갈림길’이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필승을 외쳤다. 레바논을 이겨야 16강 진출을 위한 유리한 고지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타지키스탄에 이어 레바논을 상대로도 승점 1 획득에 그치면서 카타르와의 최종전 부담만 잔뜩 커지게 됐다.

승점 2를 기록 중인 중국은 카타르(승점 6)에 이어 조 2위고, 그 뒤를 타지키스탄, 레바논(이상 승점)이 잇고 있다. 그나마 개최국 카타르가 레바논을 3-0으로, 타지키스탄을 1-0으로 잇따라 꺾고 16강 진출을 조기에 확정한 건 중국 입장에선 반가운 일이다. 토너먼트에 대비해 중국과 최종전에서 로테이션을 가동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다만 개최국이라는 점 하나만으로 매 경기 동기부여가 클 수밖에 없다는 점이 중국 입장에선 악재다. 중국이 보여준 경기력을 돌아보면 카타르가 로테이션을 가동한다고 하더라도 승리를 따낼 수 있을지는 매우 불투명하다. 중국이 카타르와 겨룰 때 나란히 승점 1을 기록 중인 레바논과 타지키스탄이 격돌하는 만큼 이 경기에서 승패가 갈리면 중국은 2위 자리마저 내줘야 하는 상황이다.

현지에서도 부정적인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소후닷컴은 “사실 이번 아시안컵에서 중국의 조 추첨 결과는 나쁜 편이 아니었다. 카타르를 제외하면 타지키스탄, 레바논은 FIFA 랭킹이 중국보다 훨씬 뒤처져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타지키스탄에서 보여준 경기력은 재앙이었다. 레바논전에선 그나마 한때 분위기를 장악하는 등 나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끝내 1승을 거두지는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만약 카타르와 최종전에서 패배하면 조별리그 3경기에서 승점 2점밖에 챙기지 못한다. 이 경우 타지키스탄이나 레바논에 밀려 3위로 밀려 다른 조 3위 팀들과 성적을 비교해야 할 수도 있다. 16강 토너먼트 진출을 낙관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매체 베이징청년보 역시 “중국 대표팀의 토너먼트 진출 가능성이 크게 줄었다. 이제는 노력 외에 운까지 필요한 상황이 됐다”고 전했다.

김명석 기자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