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버는 60대 여성 192만명…육아·가사보다 많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60대 여성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15만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등에 따르면 지난달 60대(60~69세) 여성 취업자 수는 191만7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4만5000명(8.2%) 늘었다.
육아나 가사를 한 60대 여성(171만명)보다 60대 여성 취업자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부터 60대 여성 취업자가 육아·가사 인구 앞서
여성 취업자수 증가 견인…전년동월比 33.2만명↑
[세종=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지난달 60대 여성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15만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현상 등에 미래에 일하기를 원하는 고령층이 늘어나면서 60대 여성 중에서는 돈을 버는 사람이 육아나 집안일을 하는 사람보다 많았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미취학 아동을 돌보는 육아를 한 60대 여성은 3만3000명, 가사를 한 60대 여성은 167만7000명을 기록했다. 육아나 가사를 한 60대 여성(171만명)보다 60대 여성 취업자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60대 여성 취업자 수는 6월 기준으로는 지난해부터 육아나 가사를 한 인구를 앞서기 시작했다. 육아를 한 60대 여성은 전년보다 3000명 늘었지만 가사를 한 60대 여성은 같은 기간 1만7000명 줄었다. 집안일을 하지 않고 취업시장에 나가는 60대 여성이 점점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고용흐름을 봐도 고령층과 여성이 취업시장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60세 이상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은 48.2%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9년 6월 이후 동월 기준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 취업자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4만3000명 늘었다. 60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60~64세(11만1000명), 65~69세(12만3000명), 70세 이상(10만9000명)에서 고르게 증가했다. 60세 이상 고용률도 47.1%로 역대 가장 높았다.
60대 여성이 많이 종사하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에서 돌봄 수요 증가로 관련 수요가 늘어난 것이 60대 여성 취업자 증가에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60대 여성 취업자 중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37만5000명(20%)으로 전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고령화 추세가 이어지면서 일하기를 원하는 고령층 비율도 점점 늘고 있다. 지난해 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에 따르면 미래에 근로를 희망하는 고령층(55~79세) 비율은 68.5%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공지유 (noticed@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0초만에 집어삼켰다…긴박했던 오송 지하차도 침수 순간(영상)
- [누구집]로코퀸 노리는 윤아…재테크 실력도 '퀸'
- 버스 노선 아닌데 진입…“지하차도도 사전 통제했더라면..”
- [단독]결국 터졌다…분양 '0' 울산주상복합, 시공사-조합 갈등 첨예
- 폭우속 징검다리 건너다 '아차차'…1.2km 떠내려간 50대女 구조
- 세법개정 키워드 경제활력·민생·결혼…부동산은 속도조절
- 10초만에 집어삼켰다…긴박했던 오송 지하차도 침수 순간(영상)
- 연 71만원 상당 ‘EBS 중학 프리미엄’, 전면 무료 전환
- [단독]결국 터졌다…분양 '0' 울산주상복합, 시공사-조합 갈등 첨예
- ‘적정량 섭취’ 가능하다는 아스파탐…공포감 확산에 퇴출작업 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