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저축은행서 빌린 돈 코로나 거치며 1.5배 급증 [한은 금융안정보고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고금리 19.99%' 저축은행에서 저소득·저신용 2030세대 취약차주 청년층이 빌린 빚이 '비포 코로나'였던 2019년 말보다 1.5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저축은행 취약차주 대출규모는 2019년 말 대비 51.6% 급등해 증가폭이 가장 컸다.
최고금리가 20%에 육박할 정도로 고금리 상품을 취급하는 저축은행에서 소득이 적고 신용이 낮은 취약차주 대출 규모가 급증한 것은, 사실상 이자도 못낼 빚이 그만큼 증가한 것과도 같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년·노년층일수록 더 급전 찾아
1분기 연체율 5.1%...1.7%P ↑
‘최고금리 19.99%’ 저축은행에서 저소득·저신용 2030세대 취약차주 청년층이 빌린 빚이 ‘비포 코로나’였던 2019년 말보다 1.5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6070세대의 노년층 취약차주도 저축은행에서의 대출이 같은 기간 1.3배 이상 확장됐다.
금리와 물가가 동시에 오르고 사회적 거리두기로 소규모 자영업이 쓰러지는 동안,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청년층과 노년층이 은행 밖 고금리 대출 상품으로 생활을 이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못 갚는 빚’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 저축은행 연체율은 올 1분기 말 5.1%까지 치솟았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23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취약차주 대출 규모는 지난해 말 전년대비 32.5% 증가했다. 특히 20~30대의 대출 급증세가 두드러졌다. 청년층의 저축은행 취약차주 대출규모는 2019년 말 대비 51.6% 급등해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은행 등 1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지 못한 청년 중저신용자가 급전창구로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을 찾은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4·5면
청년층 다음으로는 60~70대 취약차주의 저축은행 대출규모도 급증했다. 노년층의 취약차주 대출 증가율은 36.2%로 전체 증가율(32.5%)을 웃돌았다.
취약차주는 저신용·저소득·다중채무 3중고를 겪는 차주를 뜻한다. 최고금리가 20%에 육박할 정도로 고금리 상품을 취급하는 저축은행에서 소득이 적고 신용이 낮은 취약차주 대출 규모가 급증한 것은, 사실상 이자도 못낼 빚이 그만큼 증가한 것과도 같다.
이날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5월 나이스 신용점수 601~700점 기준 가계신용대출의 최고 적용금리는 19.99%에 달한다. 실제 업권별 연체율을 살펴보면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지난해 말 3.4%에서 올해 1분기 5.1%로 석달 새 1.7%포인트가 뛰었다.
아직 연체율로 나타나지 않았더라도 저축은행의 부실 채권 비중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모습이다. 석 달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을 의미하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이 4년래 최고치인 6.81%를 기록했다. 지난 2019년 1분기(5.81%) 대비 1%포인트나 증가했다.
한은은 “저축은행은 청년층을 중심으로 취약차주 대출 규모가 확대되어 왔으며 지난 2021년 3분기 이후 신용대출의 건전성이 저하되는 모습”이라며 “다만 가계 부문의 부실 우려가 높아지면서 2021년 3분기 이후 업권 전반의 신용대출 잔액은 증가폭이 둔화되거나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이후 금융 시스템에 대한 리스크 경계가 확대된 가운데, 상호금융업권의 경우 새마을금고를 중심으로 건전성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건설업 경기가 악화된 가운데 부동산PF 대출 규모가 컸던 데 따른 것이다.
각 업권의 업무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상호금융조합의 부동산·건설업 대출 규모는 173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업권별 총대출 대비 건설업종에 대한 대출 비중이 24.9%에 달했다. 이에 농·수·산림조합 및 신협의 연체율은 2021년 말(1.2%) 대비 0.3%포인트 증가한 1.5%를 기록했다. 특히 새마을금고의 2022년 연체율은 3.6%로 전년(1.9%) 대비 1.7%포인트나 급증했다. 올 1분기엔 더 확대됐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은은 비은행 기관의 신용 리스크가 나타나더라도 금융 시스템 전반의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비은행예금취급기관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부정적 시나리오 하에서도 모든 세부업권에서 자본적정성이 규제기준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설명했다. 홍승희 기자
hss@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죗값 치르려 한다” 가수 최성봉, 숨진 채 발견
- “감자전 2만5000원 아니었다, 옛날 가격표”…춘천 축제 ‘바가지’ 반박
- “여기가 중국이냐” 승강기에 소변 본 男, 얼굴 공개된 사연
- '레드벨벳' 조이, 활동 재개.... "몸도 마음도 건강해"
- 박서준, 154만 유튜버 수스와 열애설…소속사 "사생활 확인 불가"
- 운동기구로 8살 딸 머리 때린 엄마…法 "술취해 우발적" 집행유예
- "일주일새 1000km"…3억 람보르기니 절도 용의자 알고보니
- “닭발 왜 올려” 채식주의자 항의에 연세대 교지 사과, 왜?
- 이번에도 '마약'…비행 중 여객기 비상문 열려한 10대 구속
- “재앙 가능성” 3억짜리 타이태닉 관광 잠수정 실종, 예고된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