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까시보다 꿀 생산량 10배 많은 이 나무, ‘꿀벌 대량실종’ 막을 수 있을까?
국내 밀원수(벌에게 꿀을 제공하는 나무)를 대표하는 아까시나무보다 꿀 생산량이 2~10배 많은 나무가 대거 확인됐다. 특히 이들 나무는 꽃이 피는 시기가 서로 달라 다양한 밀원수로 숲을 조성하면 최근 나타난 ‘꿀벌 대량 실종 사태’를 막을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산림청과 국립산림과학원은 전국에 분포한 밀원수 260여종의 단위면적(㏊) 당 꿀 생산량을 분석한 결과 쉬나무 등 7종의 나무는 아까시나무보다 2배에서 최고 10배까지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11일 밝혔다.
당국이 주목하는 것은 쉬나무다. ㏊당 꿀 생산량이 400㎏로 아까시나무(38㎏)에 비해 10.5배나 많았기 때문이다.
산림과학원 관계자는 “아까시나무의 경우 1㏊당 꿀 생산량을 일반적 유통되는 유리병 벌꿀 용기(2.4㎏들이)를 기준으로 16병에 그치지만, 쉬나무는 그 10배인 160병에 이르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산림과학원 연구에 따르면 쉬나무 1그루당 꿀 생산량은 1857g으로 아까시나무(52g)에 비해 무려 35.7배나 많다. 다만 쉬나무는 나무가 커서 같은 면적에 심을 수 있는 나무의 수가 아까시나무에 비해 적다.
㏊당 꿀 생산량이 301㎏으로 아까시나무보다 7.9배 많은 헛개나무도 밀원수로 효율성이 크다. 이밖에 광나무는 ㏊당 146㎏, 이나무는 128㎏, 아왜나무는 110㎏, 꽝꽝나무는 107㎏, 피나무는 95.1㎏의 꿀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두 아까시나무보다 고효율 밀원수라는 얘기다.
특히 나무들이 꽃을 피우는 시기가 서로 다른 점에도 당국은 주목하고 있다. 개화 시기가 다른 나무로 밀원숲을 조성하면 벌이 꿀을 딸 수 있는 기간이 늘어난다.
아까시나무는 매년 5월 10~27일, 헛개나무는 6월 18~30일, 쉬나무는 7월18일~8월8일 사이에 꽃이 피는 것으로 조사됐다.
꿀벌이 대량으로 실종되는 원인 중 하나로 밀원 숲의 감소를 꼽히는 만큼 꿀 생산량은 많고, 꽃이 피는 시기가 다양한 나무들로 밀원숲을 집중적으로 조성하면 이 같은 현상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밀원수는 꿀벌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림 곤충의 먹이자원으로 활용된다”면서 “생산성이 우수한 밀원수를 발굴해 숲을 조성한다면 양봉산업을 살리면서 동시에 산림 생태계의 건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희일 선임기자 yhi@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윤석열·김용현, 계엄 종료 이틀 뒤 곽종근에 5분 간격 전화···곽 “회유 의심돼 안 받았
- “주정차 딱지 처리 좀”···부탁받고 ‘과태료 면제’ 해준 공무원들 2심도 집유
- [속보] 지방 미분양 아파트, LH가 ‘임대주택’으로 공급한다
- 김문수 “박근혜 파면 잘못됐다···무슨 큰 잘못했나”
- [속보] ‘51일 파업·도크 점거’ 옛 대우조선 하청 노동자들 징역형 집유 선고
- ‘문형배 집 앞 시위’ 옹호한 강승규 “그게 국민 여론…좀 잘 인식했으면”
- 47m 옆 또 ‘정관장’···인천공항에만 15개, 매출 반토막난 중소면세점
- 시흥 흉기 살인 피의자 “왜 화났는지 모르지만, 화가 나서 범행”
- ‘현지 공무원 뇌물 교부’ 혐의 김태오 전 DGB금융 회장…항소심 징역형 집유
- [단독]대통령실, ‘비동의강간죄 도입 검토’ 여가부 직원 감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