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싸고 안정적인 차세대 전고체 전지 소재 기술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꿈의 배터리로 평가받는 차세대 전고체 전지의 소재 기술을 개발했다.
정윤석 연세대 교수와 서동화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남경완 동국대 교수 연구팀은 전고체 배터리 소재로 사용되는 값싸고 대량생선에 유리한 고이온 전도성 '할라이드계 금속산화물-고체전해질 나노복합체'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꿈의 배터리로 평가받는 차세대 전고체 전지의 소재 기술을 개발했다.
정윤석 연세대 교수와 서동화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남경완 동국대 교수 연구팀은 전고체 배터리 소재로 사용되는 값싸고 대량생선에 유리한 고이온 전도성 ‘할라이드계 금속산화물-고체전해질 나노복합체’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전고체 전지는 2차전지인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꿈의 배터리로 평가받는다. 리튬이온전지는 발화 시 연료가 되는 유기계 액체전해질을 쓰는데, 전고체 전지는 이를 난연성의 고체전해질로 대체해서 불이 나거나 폭발할 위험이 적다. 여러 단위셀을 촘촘하게 붙여서 에너지 밀도가 좋고 높은 출력을 낸다.
전고체 전지의 소재 개발은 아직 더딘 편이다.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이나 할라이드계 고체전해질이 거론되지만 모두 단점이 있다.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고전압 안정성이 떨어지고 대기 중 수분과 반응하면 독성 기체인 황화수소를 발생시킨다. 할라이드계 고체전해질은 희토류 금속을 합성해 만들다 보니 가격이 비싸다.
연구팀이 개발한 금속산화물-고체전해질 나노복합체(ACl-ZrO2-A2ZrCl6)는 희토류 금속이 아닌 비교적 흔한 지르코늄(Zr) 기반의 소재를 사용해 가격이 저렴하고 대량 생산에 유리하다. 계면이온전도 현상을 이용해 이온전도도도 1mS/㎝ 이상을 기록하는 등 전기화학적 안정성도 우수하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고전적인 고체전해질 개발 방식을 넘어 계면이온전도 현상을 활용해 고체전해질 개발의 새로운 차원을 제시한 결과로, 전고체 전지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달 28일 게재됐다.
참고자료
Nature Communications, DOI :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3-38037-z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9 자주포 수출 숨은 공신 탄약운반차… 분당 12발 자동 적재
- [단독] 서울 지하철 MZ 직원 10명 중 8명 “특별 승진 불공정하다”
- “정용진의 No Brand아니고 ‘NOBLAND’입니다”... 매번 나오는 ‘사명 혼동’ 주의보
- 어도어 지원 받고, 활동은 맘대로?… 계약해지 됐다는 ‘뉴진스’ 이래도 될까
- [디지털상공인] ‘힙지로 주역’ 커피한약방, 온라인 시장도 도전장
- 서울시의회 앞에서 회계사·세무사 번갈아 시위하는 까닭은
- “부부 노후 적정 연금 月 391만원… 예상 연금 271만원으로 부족”
- 서울원 아이파크는 한 달째 분양, 입주자 모집 이어진다
- 한화, 아워홈 지분 58% 인수 7부 능선 넘었다
- 배우 이정현, 기아 생산직 지원했다 탈락…연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