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대0’ 이란 선수들, 귀국 후 사형 가능성...국제사회 우려
[마이데일리 = 런던 유주 정 통신원] 2022 카타르 월드컵에 출전한 이란 선수들은 25일 웨일스전에서 역사를 썼다. 월드컵 무대에서 처음으로 2골차 승리를 거뒀고, 정국 혼란으로 마음이 복잡할 자국 팬들에게 간만의 기쁨을 선사했다.
그러나 이란 선수들을 바라보는 국제사회의 시각은 우려 일색이다. 영국 매체 더 선 등은 이들이 고국에 돌아가면 반정부 행위자로 분류돼 징역 등 각종 처벌을 비롯해 심각하게는 처형될 가능성까지 있다고 내다봤다.
이란에선 지난 9월 이래 반정부 시위가 크게 확산한 상황이다. ‘마흐사 아미니 사건’이 발단이었는데, 스물두 살이었던 아미니는 히잡을 착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찰에 체포된 뒤 숨졌다.
이란은 여성들에 대해 공공장소에서의 히잡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후 아미니가 단속반 직원들에게 심한 구타를 당했다는 증언도 나왔지만 이란 당국은 이 같은 주장을 부인했다.
25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시위 과정에서 현재까지 460명 넘게 숨졌고 1160여 명이 다쳤다.
이란 선수들은 경기에 앞서 자국 국가를 제창하지 않는 방식으로 시위에 동참했다. 이런 풍경은 이날 웨일스전에서도 벌어졌는데, 관중들은 이란 국가가 묻히도록 소리를 질러주는가 하면 곳곳에서 눈물을 흘리는 이란 팬들도 포착됐다.
앞서 이란 대표팀 주장 에산 하지사피는 월드컵 기자회견에서 “사망자의 유족들에게 조의를 표하고 싶다”며 “우리가 그들과 함께한다는 것, 지지한다는 것, 그리고 공감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달라”고 호소했다.
선수들의 이 같은 행위는 많은 지지를 받았지만, 인권운동가들은 선수들이 실제로 처벌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란에선 최근 반정부 시위 참가자들이 무더기로 사형 판결을 받기도 했다. 국제사회에선 이란이 사형 제도를 시위대를 억압하는 용도로 쓰고 있다는 지적이 거세다.
이란은 인구 대부분이 무슬림인 국가다. 이슬람교가 국교로 지정돼 있기도 하다. 1970년대 팔라비 왕조를 축출하고 권력을 잡은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는 강력한 이슬람 원리주의 국가를 제창했다.
이후 이란의 사회·문화적 분위기는 빠르게 변모했다.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법이 국가 운영의 근간이 됐고, 여성과 성 소수자 등을 차별하고 억압하는 세태가 고착화됐다.
이란 시민들은 이 같은 정부의 강압적인 신정 체제에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진 = 게티이미지코리아]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