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망원경, 33년 만에 해왕성 고리 완벽 포착했다[과학을읽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 덕에 인류가 30여년 만에 다시 해왕성의 고리를 볼 수 있게 됐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21일(현지시간) JWST가 30여년 만에 해왕성의 고리와 위성까지 포착한 사진을 홈페이지에 실었다.
천문연구대학협회(AURA) 소속 하이드 해멜 연구원은 "우리가 마지막으로 해왕성의 희미한 먼지 고리를 본 후로 30여년 지났다"면서 "특히 적외선으로 촬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 덕에 인류가 30여년 만에 다시 해왕성의 고리를 볼 수 있게 됐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21일(현지시간) JWST가 30여년 만에 해왕성의 고리와 위성까지 포착한 사진을 홈페이지에 실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해왕성을 둘러싸고 있는 고리가 완벽하게 포착됐다는 것이다. 해왕성의 고리는 1984년에야 발견됐다. 이전만 해도 워낙 거리가 먼 데다 희미한 탓에 해왕성에 토성ㆍ목성과 같이 고리가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었다. 33년 전인 1989년 보이저2호가 해왕성을 지나가면서 고리 일부분을 포착했을 때 가장 자세히 관측됐다. 천문연구대학협회(AURA) 소속 하이드 해멜 연구원은 "우리가 마지막으로 해왕성의 희미한 먼지 고리를 본 후로 30여년 지났다"면서 "특히 적외선으로 촬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해왕성은 1846년 발견됐지만 태양과의 거리가 지구-태양 사이보다 30배나 더 멀고 태양계 외부의 어둡고 먼 지역을 공전해 관측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JWST가 고감도의 적외선 센서로 찍은 이번 이미지에는 희미한 먼지 고리가 역대 어떤 관측 이미지보다 더 뚜렷하게 찍혀 있다. 심지어 해왕성에 근접했던 보이저 2호가 촬영한 것보다도 훨씬 더 뚜렷하다.
이번 JWST의 해왕성 이미지는 기존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었던 파란색이 아니라 흰색에 가깝다는 것이다. 그동안 허블이 찍은 해왕성은 대기 중 메탄 성분에 의해 파란색으로 나타났지만, JWST는 근적외선으로 촬영했기 때문에 반영되지 않았다. 또 14개의 해왕성의 위성도 뚜렷하게 담겨 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북한강 시신 유기' 현역 장교는 38세 양광준…머그샷 공개 - 아시아경제
- '초가공식품' 패푸·탄산음료…애한테 이만큼 위험하다니 - 아시아경제
- 가수 벤 "아이 낳고 6개월만에 이혼 결심…거짓말에 신뢰 무너져" - 아시아경제
- '이렇게 많은 돈이' 5만원권 '빽빽'…62만 유튜버에 3000억 뜯겼다 - 아시아경제
- "저거 사람 아냐?"…망망대해서 19시간 버틴 남성 살린 '이것' - 아시아경제
- [MZ칼럼]한강 작가도 받지 못한 저작권료와 저작권 문제 - 아시아경제
- "수지 입간판만 봐도 눈물 펑펑"…수지 SNS에 댓글 남긴 여성이 공개한 사연 - 아시아경제
- "석유는 신의 선물이야"…기후대책 유엔회의서 찬물 끼얹은 사람 - 아시아경제
- 바이크로 수험생 바래다주던 송재림…"화이팅 보낸다" 격려도 - 아시아경제
- 올해 지구 온도 1.54도↑…기후재앙 마지노선 뚫렸다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