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돗개·풍산개·경주개동경이, 야생 늑대가 조상..외국개보다 야생적"

한영혜 2018. 1. 10. 12:2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주개동경이(左)ㆍ풍산개(右). [뉴스1ㆍ농촌진흥청]
우리나라 풍산개와 진돗개 등이 외국 현대품종들과 다른 고유한 집단을 구성하고 있고, 더 야생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0일 농촌진흥청은 무술년 개의 해를 맞아 한국 토종개와 야생ㆍ고대ㆍ현대의 개 33품종 2258마리의 유전체(DNA) 분석결과를 비교해 발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표 토종개인 진돗개, 풍산개, 경주개동경이는 야생 늑대를 공통 조상으로 뒀지만, 각각의 독특한 유전적 다양성을 가지며 한반도에 정착했다.

유전체 분석에 활용된 토종개는 진돗개(백구ㆍ흑구ㆍ네눈박이ㆍ호구), 풍산개(백구), 경주개동경이(백구) 총 3품종, 6개 집단, 189마리다. 개과(犬科) 야생종으로는 늑대ㆍ코요테를, 고대 품종으로는 차우차우ㆍ샤페이ㆍ아프간하운드ㆍ시베리안허스키 등을, 현대 품종으로는 복서ㆍ보더콜리ㆍ치와와ㆍ그레이트데인 등을 활용했다.

연구진은 유전자형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유전자 칩을 이용해 개의 전체 유전체를 비교ㆍ분석했다. 먼저 한국 토종개는 중국 개, 일본 개와 더불어 고대 개 품종들과 유전적으로 비슷했다. 그러나 현대 품종들과 비교한 결과 진돗개, 풍산개, 경주개동경이 3품종의 유전적 근연관계가 매우 가까웠고 외국 품종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한국 토종개들은 자신들만의 고유한 집단을 구성하고 있었다. 또 한국 토종개는 다른 외국 개 품종보다 늑대ㆍ코요테의 유전자형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이는 한국 토종개들이 야생성을 더 많이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야생 늑대의 유전적 특징은 풍산개, 경주개동경이, 진돗개 순으로 더 많이 지니고 있었다.

박범영 농촌진흥청 축산생명환경부장은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의 개 품종들 사이에서 한국 토종개의 유전학적인 정체성과 독창성을 정립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면서 “토종개는 후대에 물려 줄 소중한 생물학적 자연유산인만큼 앞으로 체계적ㆍ과학적으로 관리ㆍ보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은 또 한국 토종개들의 유효 집단크기가 지속해서 감소해 유전적 다양성 확보를 위한 보호ㆍ육성 사업이 시급해 보인다고 밝혔다.

한국 토종개의 유효 집단크기는 진돗개 흑구 485마리, 진돗개 네눈박이 262마리, 풍산개 백구 110마리, 경주개동경이 백구 109마리에 머무르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과학학술지인 ‘플로스 원’(PLOS ONE)에 실렸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