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탄소나노튜브 고효율 공정기술 개발
<아이뉴스24>
국내 연구진이 분자조립 나노기술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고효율 제조공정 기술을 개발했다. 이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2차 전지 전극 등 다양한 전자소자로의 다양한 응용이 전망된다.
KAIST 신소재공학과 김상욱, 이원종 교수팀은 분자조립 나노기술을 이용, 높은 전기전도성의 탄소나노튜브(CNT)를 빠른 속도로 합성할 수 있는 새 공정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발표했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나노기술분야 권위지인 미국의 '나노 레터스'지 인터넷판 13일자에 게재됐다.
탄소나노튜브는 전기적·물리적 성질이 우수해 미래기술로 각광받고 있지만, 실용화를 위해선 전기전도도를 높이고 탄소벽 개수를 원하는대로 조절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김상욱 교수 연구팀은 고분자의 분자조립 나노패턴 기술을 통해 탄소나노튜브 성장에 필요한 금속 촉매의 크기를 대면적에서 수 옹스트롱(머리카락 굵기의 100만분의 1)수준으로 균일하게 조절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의 직경과 탄소벽 개수를 원하는대로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또 일반적인 탄소나노튜브의 두 배 이상 되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갖게 하는 것은 물론, 탄소나노튜브를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시키는 데 성공했다. 김상욱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를 통해 탄소나노튜브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짓는 직경과 탄소벽 개수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질소도핑을 통해 전기적 전도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새 제조공정을 개발했다"며 "향후 탄소나노튜브의 플렉서블 전자소자, 2차 전지 전극, 고기능 복합재료 등의 상용화를 앞당기게 됐다"고 말했다.
/임혜정기자 heather@inews24.com
IT는 아이뉴스24
연예ㆍ스포츠는 조이뉴스24
새로운 시각 즐거운 게임, 아이뉴스24 게임
메일로 보는 뉴스 클리핑, 아이뉴스24 뉴스레터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폭행 생중계한 BJ, 200명 중 아무도 신고 안 했다
- 이준석 "이재명, '공공의료 전국 확대' 위험한 생각 확신"[종합]
- 한국GM 노조 "신차 개발·전동화 등 국내 생산 중장기 계획 수립해야"
- [속보] 시흥 흉기살인 차철남, 구속…"도주할 우려 있어"
- 수낵 전 영국 총리 "딸들이 꼭 올영 들르라고"
- 美 IRA 조기 폐지 가능성⋯국내 태양광 업계 우려·기대 공존
- '미공개정보이용·부정거래' 비보존제약·아이엠 검찰고발
- 한동훈 "김문수, 부정선거 음모론과 절연해야"
- "무서워서 못 보겠다"…풍선처럼 부푼 빌라 외벽에 주민들 대피
- "파생 콘텐츠까지 몰입감 제공"⋯네이버웹툰의 색다른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