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 소셜 빅데이터 5만건 분석
2010년대 초반 이후 태어난 '알파세대'가 새로운 소비 주역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이들은 유명 브랜드보다 실용성과 '내게 맞는 경험'을 더 중시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4일 종합 커뮤니케이션그룹 KPR 부설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에 따르면 소셜 빅데이터 5만건에 대한 분석 결과, 알파세대와 관련된 키워드의 언급량은 지난해 1분기 5792건에서 4분기 8245건으로 42% 급증했다.
알파세대는 디지털, 콘텐츠, 게임, 인공지능(AI) 등 혁신 기술과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은 반면 이들의 부모 세대인 밀레니얼 세대는 경제·금융 관련 키워드가 상위에 올랐다.
브랜드 선호도에서도 세대 간 차이가 뚜렷했다. 밀레니얼 세대는 현대, 스타벅스, 나이키 등 글로벌 브랜드에 관심을 보인 반면, 알파세대는 다이소, 삼양식품 등 실생활과 밀접한 브랜드를 더 많이 언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파세대는 가격 접근성이 높은 브랜드와 디지털 플랫폼을 중심으로 소비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는데, 이를 통해 실용성과 개인화된 경험을 더욱 강조하는 특성이 확인됐다고 연구소는 밝혔다.
또한 알파세대는 단순히 게임을 즐기는 것에서 벗어나 게임 내에서 디지털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브랜드와 협업한 콘텐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AI 기반 추천 시스템을 활용해 자신에게 맞는 콘텐츠를 찾고 소비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특히 스스로 원하는 물건을 선택하고 경험할 수 있는 '다이소'와 '편의점'을 주요 쇼핑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연구소는 분석했다.
알파세대는 디지털 네이티브를 넘어 AI 네이티브로 성장하며 기존 세대와는 완전히 다른 소비 패턴과 가치관을 형성하고 있다...이들의 특성을 깊이 이해하고 AI·게임·소셜미디어(SNS) 기반 마케팅을 고려한 브랜드 전략이 필요한 시점"
- 김은용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