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폭탄 관세에 폭락한 증시, 경기침체의 시작일까?

유료광고포함
조회 4,7612025. 4. 3.
2025년 4월 4일 금요일

변동성의 시대, 어떻게 헤쳐나가야 할까?

S&P 500 지수는 2023년, 2024년 2년 연속 20% 넘게 상승하며 초강세장을 나타냈습니다. 지수를 추종하는 가장 기본적인 패시브 ETF만 활용해도 누구나 쉽게 수익을 낼 수 있었을 정도로 말이에요. 그러나 올해는 상황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이례적인 강세장이 지나고 변동성의 시대가 오고 있어요.

상승장이 끝나간다고 우리의 투자도 멈추어서는 안되죠?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변동성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투자의 툴을 찾아 나서야 합니다. 바로 옵션 ETF를 통해서 말이죠.

옵션 ETF의 유형별 정리부터, 각 상황별 구체적인 활용 방안까지 머니네버슬립의 노하우를 싹 다 담았습니다! 초보 투자자도 전략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실 수 있습니다. 급성장하는 옵션 ETF 시장 속 기회를 잡아보세요!

옵션 ETF 전략이 궁금하다면? 👀


출처 = 백악관 홈페이지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 ▽3.98%
S&P 500 ▽4.84%
나스닥 종합주가지수 ▽5.97%

오늘의 증시

미국 증권시장이 3일(현지시간) 폭락했습니다. 팬데믹 확산 초기였던 2020년 이후 5년 만에 기록한 최악의 하루입니다. 주요 지수가 일제히 큰 폭으로 하락한 가운데 S&P 500 지수는 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하면서 다시 기술적 조정 국면에 진입했습니다.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승리 후 찍은 저점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인용한 다우존스 데이터에 따르면, 이날 하루에만 약 3조 1000억 달러 규모의 시가총액이 증발했습니다.

중소형주 위주로 이뤄진 러셀 2000이 받은 피해가 컸습니다. 러셀 2000 지수는 지난해 11월 기록한 사상 최고치 대비 20% 이상 하락하면서 주요 지수 가운데 최초로 약세장에 들어섰습니다. 월스트리트에서는 주가가 최고가 대비 10% 하락하면 기술적 조정 국면, 20% 이상 하락하면 약세장 국면으로 봅니다.

반면, 국채 가격은 급등했습니다. 주식 시장이 폭락하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커진 겁니다. 실제 국채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국채수익률은 단기물과 장기물 가리지 않고 하락 곡선을 그렸습니다. 글로벌 벤치마크로 여겨지는 10년물 미국 국채 수익률은 15bp 하락했고,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수익률은 전일 대비 19bp 떨어졌습니다. 급락이라고 표현할 만한 낙폭입니다.

증시 포인트: 흔들리지 않는 트럼프

이날 시장을 끌어내린 건 트럼프 대통령이었습니다. 정확하게는 그가 시행한 상호관세 정책이에요. 그는 전날 상호관세를 발표했습니다.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을 적용해 5일부터는 모든 국가에 10%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9월부터는 무역적자가 큰 국가에 개별적인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거예요. 미국과의 무역흑자 폭이 큰 국가들에는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했고요. 중국의 경우, 기존 20% 관세에 상호관세까지 더하면 관세율은 54%에 달합니다.

이는 시장이 예상한 최악의 시나리오입니다. 패닉 매도가 일어난 것도 이 때문이고요.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아랑곳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상호관세로 인해 시장이 폭락한 것에 관련해 “매우 잘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 나라는 호황을 누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사람들이 이야기해야 할 건 미국에 들어오는 거의 7조 달러 규모의 투자이며, 그 결과”라고 강조했습니다. 정리하자면, 후퇴할 기미를 전혀 보이지 않았죠.

그의 말과는 달리, 월스트리트에서는 상호관세로 인해 경기침체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경고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바클레이스는 상호관세가 시행되면 올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1%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성장 폭이 줄어드는 걸 넘어서 아예 역성장하리라는 말이죠. 물가상승률은 연방준비제도(Fed)의 목표치를 크게 웃도는 3.7%로 전망했고요. UBS는 미국 경제가 2분기 연속 역성장하는 기술적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관측했습니다.


틱톡 팔면 관세 낮춘다? 💸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의 미국 사업부 인수 건이 거의 협상을 마무리하는 단계에 있다고 밝혔어요! 미국 투자자 컨소시엄(오라클, 블랙스톤 등)이 틱톡의 미국 사업부를 분리해 새 회사를 만들 계획이며, 여기에서 외부 투자자는 50%, 기존 투자자는 30%, 바이트댄스는 20% 미만의 지분을 가져간다는 전망입니다. 트럼프는 중국 당국이 거래를 승인할 경우 관세 완화 조치도 가능하다고 언급하며 이를 협상의 지렛대로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어요.

특히 더 흔들린 애플 🍎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 이후 3일(현지시간) 나스닥 지수는 무려 5.97%나 급락했습니다. 매그니피센트 7 기업들의 부진한 주가 퍼포먼스가 특히 두드러진 하루였는데요. 그중에서도 중국에 대한 노출이 큰 애플이 더욱 큰 타격을 입었어요. 애플은 제품의 대부분을 중국에서 제조하며, 주력 생산 업체인 폭스콘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데요. 이는 다시 말해 관세 영향에 그만큼 많이 노출되어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머스크의 행보에 떠는 IT 섹터 👀

일론 머스크의 DOGE(정부효율부)가 연방 지출 1조 달러 감축을 추진하면서 IT 기업들이 매출 손실 위험에 직면했다는 분석이 나와요.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등 기업들이 특히 타격을 입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원래 약 400억 달러 규모의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서비스 지출을 계획했던 예산이 수정될 수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단 생산 멈춤 ✋

스텔란티스가 캐나다 온타리오 공장은 2주, 멕시코 공장에서는 4월 한 달 동안 생산을 중단하기로 했어요. 트럼프 대통령의 25% 자동차 관세 시행에 대응하는 것인데요. 스텔란티스는 관세가 중장기적으로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며, 주요 이해관계자와 긴밀이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가격 결정력(Pricing Power)

가격 결정력은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을 자신들이 원하는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해요. 쉽게 말해, 소비자들이 가격이 조금 올라도 “괜찮아, 그거 맛있으니까”라고 구매하는 경우에 해당해요. 예를 들어, 유명 브랜드의 커피나 아이스크림은 비싸도 사람들이 찾는 이유가 바로 이 가격 결정력 때문이에요.

경쟁이 심해도 고객들이 그 브랜드의 가치를 인정하면, 가격을 올려도 큰 타격을 받지 않으니 기업은 안정적으로 이익을 남길 수 있어요. 결국, 가격 결정력이 강하면 시장에서 ‘자유롭게’ 가격을 조절할 수 있는 멋진 힘이라고 할 수 있어요.


"하락한 엔비디아 주가, 다시 오르기 힘들지도"

출처 = 엔비디아 홈페이지

HSBC, 투자의견 하향 조정

엔비디아의 주가가 최근 매우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엔비디아의 주가가 다시 반등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3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HSBC의 프랭크 리 애널리스트는 엔비디아의 투자의견을 매수(Buy)에서 보유(Hold)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목표주가도 기존의 175달러에서 크게 낮춘 120달러로 제시했습니다.

리 애널리스트는 "엔비디아는 회계연도 2026년에 전년 대비 매출 62% 증가, 주당순이익(EPS) 58% 증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회계연도 2026년 기준 주가수익비율(PER) 23배는 과도하다고 보이지 않는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그는 "1~2년 내 실적 상향 가능성이 제한적이고, 시장에서 아직 완전히 반영되지 않은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재평가) 리스크를 고려할 때 향후 주가 상승 여지는 크지 않다고 본다"고 진단했습니다.

"GPU에 대한 가격 결정력 약화"

리 애널리스트는 엔비디아의 GPU에 대한 장악력이 다소 약화될 수 있다고도 보고 있는데요. 그는 "엔비디아의 GPU에 대한 가격 결정력이 약화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이익 성장세를 제한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2026년 출시 예정인 차세대 GPU인 '베라 루빈(Vera Rubin)'에 대해서도 "스펙 업그레이드가 제한적"이라고 전했습니다.

다만, 중국 기업들의 엔비디아 반도체 사재기는 한창 진행되고 있습니다. 2일(현지시간) 디 인포메이션에 따르면, 알리바바와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 중국 기술 대기업은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AI 칩 H20을 160억 달러 이상 주문했습니다. H20은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아래에서도 합법적으로 중국에 판매할 수 있는 제품에 해당합니다.

엔비디아의 주가는?

엔비디아의 주가는 3일(현지시간) 7.81% 급락한 101.80달러에 정규 장을 마감했습니다. 올해 들어 이 기업의 주가는 약 24%나 급락했습니다.


🗞 글: 심두보, 노우진, 김나연, 우세현 📑 기획: 이유림, 강동현

비즈니스 문의: snowballlabs.official@gmail.com

#지식토스트 #머니네버슬립 #미국주식 #지식토스트_모닝브리핑 #시황 #증시 #트럼프 #관세 #엔비디아 #반도체 #AI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