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한국산?…중국산 콩으로 한국서 재배한 콩나물의 원산지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음식점에서 손님에게 반찬으로 제공된 콩나물의 원산지를 둘러싼 논란이 최근 1심 재판부의 판결로 마무리됐다.
재판부는 "원산지를 거짓 표시하는 행위는 유통 질서를 어지럽히고 소비자의 정당한 기대를 저버리는 범죄"라면서 "피고인은 상당 기간 국내산보다 저렴한 중국산 콩나물과 김치를 사용하면서 원산지를 거짓 표시했는데도 잘못을 반성하고 있지 않아 죄책이 무겁다"고 판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주지법 형사4단독(김미경 부장판사)은 농수산물의 원산지표시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기소된 A(57)씨에게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 벌금 1000만원을 선고했다고 16일 밝혔다.
A씨는 김제시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면서 2023년 11월∼2024년 1월 중국산 콩을 원료로 한 콩나물 56㎏을 국내산으로 속여 손님상에 내놓은 혐의로 기소된 바 있다.
이 재판의 쟁점은 콩나물의 원산지 표시를 ‘중국산’으로 해야 하는지, 아니면 ‘국내산’으로 할 수 있는지였다.
변호인은 “음식점에서 사용한 콩나물은 중국산 콩을 우리나라에서 키운 것으로 국내산이 맞다”며 “따라서 이 사건에서 원산지를 국내산으로 표시한 것은 허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재판부는 원산지 표시 방법을 상세히 규정한 법률과 농림축산식품부 고시 등을 토대로 이를 반박했다. 재판부는 “종자를 수입해 ‘작물’ 그 자체를 생산한 경우에는 농산물의 원산지 변경이 이뤄졌다고 할 수 있지만, 단순히 싹 또는 꽃을 피우거나 비대 성장시킨 것은 원산지 변경 행위로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피고인은 콩 종자에 물과 온·습도를 조절하는 단순한 공정만으로 콩나물을 재배했으므로 원산지는 종자의 원산지를 표시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재판부는 이 밖에 A씨가 2018년 9월∼2024년 1월 중국산 배추김치 1만1200㎏을 국내산으로 표시해 탕에 넣어 판매한 사실도 인정된다며 징역형이 불가피하다고 봤다.
재판부는 “원산지를 거짓 표시하는 행위는 유통 질서를 어지럽히고 소비자의 정당한 기대를 저버리는 범죄”라면서 “피고인은 상당 기간 국내산보다 저렴한 중국산 콩나물과 김치를 사용하면서 원산지를 거짓 표시했는데도 잘못을 반성하고 있지 않아 죄책이 무겁다”고 판시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영덕 앞바다서 잡힌 1천만원 초대형 참치…기뻐할 일 아니라는데 - 매일경제
- 탄핵심판 선고 앞둔 주말…서울에서 펼쳐진 탄핵 찬반 집회 ‘총력전’ - 매일경제
- 쏟은 커피에 중요부위 화상 입은 남성…“스벅, 727억 배상” 무슨 일? - 매일경제
- 국민연금 가입기간 64세로 늘리면?...1인 평균 국민연금 0000만원 더받는다 - 매일경제
- 회사서 해고된 상간녀…공개 망신 본처에 ‘4천만원 손배소송’ 걸었지만 - 매일경제
- 만리장성에서 노출사진 찍다 체포...日 남녀 수위 어느정도였길래 - 매일경제
- 서울 철거민들 몰려갔던 늙은 동네...5만가구 ‘매머드’ 아파트촌으로 태어난다 - 매일경제
- “이제 여기서도 부자 아빠 차 ”...제네시스 3대중 1대 미국서 샀다 - 매일경제
- “하필이면 배달기사 거기에”...스타벅스 727억 배상 명령받아[영상] - 매일경제
- ‘손까’도 인정하는 활약상! 손흥민, 3골 관여 → 토트넘 UEL 8강 진출…“전성기 활약 보여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