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에도 대출한도 '규제'… "부동산 거래 영향 미미할듯"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에 금리 2%대 시대가 열리면서 서울 고가 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 거래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통상 금리 인하는 부동산 매수 심리를 회복하는 기능을 하지만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대책에 따른 대출 규제로 거래에 큰 역할을 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의견이다.
기준금리 인하에도 즉각 대출금리 인하로 이어지지 않으면서 부동산 거래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될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기준금리를 3.00%에서 0.25%포인트 낮춘 2.75%로 결정했다. 금리 2%대는 2020년 10월(2.50%→3.00%) 이후 2년4개월 만이다. 금통위는 지난해 10월 4년5개월 만에 금리 인하 후 11월에도 금리를 0.25%포인트 내렸지만 올 1월에는 고환율을 이유로 금리를 동결한 바 있다.
통상 금리 인하는 부동산 매수 심리를 회복하는 기능을 하지만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대책에 따른 대출 규제로 거래에 큰 역할을 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의견이다.
김효선 NH농협은행 WM사업부 All100자문센터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가 대출금리에 반영되는 속도에 따라 부동산 영향이 나타날 것"이라며 "특히 경제 회복이 느려지고 정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주택시장 관망세가 장기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울시가 최근 강남 일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하며 일부 호가 폭등이 일어났지만, 실제 거래로 이어지지 않는 만큼 금리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토지거래허가구역 등의 거래는 활발해질 수 있어도 지방 부동산은 침체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방 주택 수요의 부재가 부동산 침체의 원인으로 금리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금리 인하 시 자금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에 강남권과 한강변 등 서울 주요 주택시장의 거래 증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지방 주택시장은 미분양 적체 등 부담으로 수요 유발이 제한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셋째 주(17일 기준)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강남3구를 중심으로 급등했다. 강남(0.08%→0.27%) 서초(0.11%→0.18%) 송파(0.14%→0.36%) 등이 급상승했다.
장동규 기자 jk31@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고양 중식당 치정살인' 내연녀… 발견 당시 수면제 복용 '혼수상태' - 머니S
- "이름에 음기 가득해"… 레인보우 조현영, 개명한 이유 - 머니S
- '1억뷰' 삐끼삐끼 춤 원곡자… 토니 안, 저작권 수입 얼마? - 머니S
- "레드빛 시스루"… 마마무 화사, 팬츠리스룩 '아슬아슬' - 머니S
- 남자친구에게 차인 뒤 28kg 감량… 글래머 몸매로 완벽 변신 - 머니S
- 안성 고속도로 다리 통째로 붕괴… 50m 높이서 추락 '4명 사망' - 머니S
- 미군 출신이라던 '캡틴 아메리카' 지지자… 미국 입국기록 없어 - 머니S
- 태영 이어 '건설 부실 리스트' 예고… 시공능력 상위업체 포함 - 머니S
- 새해 첫 주식시장 10시 개장… 종료 시간은 3시30분 유지 - 머니S
- '신도 성폭행' 만민중앙교회 이재록, 형집행정지 중 사망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