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의 경제읽기] '임대차 3법' 시행 2년..전·월세 시장 영향은?
<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
계약갱신청구권과 전·월세 상한제를 도입한 임대차법이 개정 2주년을 앞두고 있습니다.
오는 7월 말부터 계약갱신청구권을 소진한 매물이 시장이 풀리고 그간 눌렸던 전셋값이 시세에 맞춰 오를 가능성이 커 전셋값 급등이 우려되고 있는데요.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오는 7월 말부터 계약갱신청구권이 소진된 신규계약 물건이 시장에 나오게 됩니다. 신규계약이라 인상 폭에 제한이 없어지는 만큼, 전셋값이 다시 들썩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 현재 서울 아파트 전·월세 갱신 계약 시장은 어떤 상황인가요?
<질문 2> 지난해 6월부터 올해 3월 사이 신규 전세 계약을 맺은 임차인들이 갱신 계약을 한 사람보다 평균 1억 5천여만원 높은 보증금을 부담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갱신 계약과 신규 계약 보증금 격차는 강남권의 중대형 고가 아파트일수록 더 크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난 건가요?
<질문 3> 올해 줄어든 신규 입주 물량과 전세의 월세화도 전세 시장에 부담을 더하는 요인이 되는 가운데 새 정부가 임대차3법 손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전세 시장 안정을 위해 마련 중인 대책은 무엇이고 하반기 시장 전망은 어떻습니까?
<질문 4>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17%가 '적자'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소득 가운데 원리금 상환액 비중이 약 98%로 벌어들인 돈을 거의 빚 갚는 데에만 쓴다고 하던데 구체적으로 적자 가구의 소득과 지출 현황이 어땠나요?
<질문 5> 기준금리와 물가가 오르고 있어 적자 가구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적자 가구 중 18%는 적자이면서 임대를 놓고 있어 전·월세 보증금으로 적자를 메우는 '전세금 돌려막기'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데요. 향후 경제 충격의 연결 고리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는데 대비책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질문 6> 배달의민족의 새 광고 상품인 '우리가게클릭'에 대한 자영업자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논란이 일고 있는 '우리가게클릭', 정확히 어떤 서비스인가요? 도입 반대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는 뭔가요?
<질문 7> 일부 자영업자들은 해당 광고 상품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우리가게클릭과 같은 부가서비스를 사실상 강제하는 행위가 반복되고 있다며 공정거래위원회에 공정거래법 위반과 불공정행위로 배달의 민족을 신고했는데요. 배달의민족 입장은 어떻습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백악관, 전임 오바마 초상화 치우고 트럼프 '암살 모면' 그림 내걸어
- 이정후, 시즌 첫 홈런포…양키스전 석 점포 폭발
- 尹 서초동 사저 고요…다음 주 형사재판 준비할 듯
- 무면허 교통사고 후 운전자 바꿔치기 시도…40대 실형
- '위증교사' 재판받던 전북교육감 처남, 차에서 숨진 채 발견
- 국내 첫 럭셔리 크루즈페리 취항…"크루즈 산업 저변 확대 기대"
- [현장연결] 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지하 붕괴 현장 브리핑
- 봄밤 밝히는 고궁…덕수궁·창덕궁으로 떠나볼까
- 채팅방서 알게 된 미성년자 차량서 간음…20대 징역 3년
- 스쿨존도 아닌데 엉뚱하게 '민식이법' 적용…법원 "치상죄만 유죄"